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자220

자산배분을 어떻게 해야 할까? - 마법의 돈 굴리기 자산배분 절차(Asset Allocation Process)는 총 5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 목표수익률 설정: 투자를 통해 얻고자 하는 목표수익률을 설정 2. 자산군 및 투자 상품 설정: 주식, 채권, 대체투자 등 투자 대상 자산군과 자산군 내 투자 상품 결정 3. 장기 목표 비중 결정: 자산별로 얼마씩 투자 금액을 배분할지 비중을 결정 4. 자산 재분배 기준 정의: 자산별 가격 등락에 따른 비중 변경 시 자산 재분배를 수행하는 기준 설정 5. 자산배분 투자 실행: 설정된 기준에 맞게 자산을 매입하고 지속적으로 관리 1. 목표수익률 설정 목표수익률이 너무 높으면? 기대수익률이 높은 자산에 많이 투자해야 한다 -> 이런 자산은 변동성이 커서 투자자가 감수해야 할 위험도 크다 목표수익률이 낮으면? 투자를 .. 2022. 7. 19.
인플레이션이 잠들어 있던 이유는? 지난주 FOMC 회의록이 공개됐다. 이후 미국 증시가 반등한 듯 했지만 아직 인플레이션의 우려는 강하다. 그리고 어제는 CPI(소비자물가지수) 9.1%. 신문 기사에서도 언급했듯이 코로나 19 팬더믹으로 인한 수급 불균형과 높은 에너지 가격,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코로나 19 관련 중국 봉쇄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혼선이 인플레이션의 원인으로 꼽을 수 있겠다. 그리고 이 중 공급망 관련 문제는 실질적으로 해결된 점이 없어서 앞으로도 인플레이션 흐름은 쉽게 잡히지 힘들 것 같고 따라서 긴축 기조는 더욱 강해질 수 있다는 회의록의 내용이다. CPI에 따라 이제 1.0bp 인상(울트라스텝) 이야기도 강하게 나오고 있다.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위의 기사에서 언급한 사항이 전부는 아닐 것이고, 지금 왜 이렇게 문.. 2022. 7. 14.
기업을 분석하기 전 10분 테스트 올해 초 노트북을 새로 구매하는데 약 3주의 시간이 걸렸다. 11번가 할인행사일인 십일절까지 3주가 남았기 때문이다. 노트북에 대해서 잘 모르고 약 3년 만에 새로 구매하는 거라 나에게 맞는 제품을 고르기도 힘들었다. 어느 회사? 360' 접히는 거? 터치스크린? 크기? 노트필기 가능? RAM? 그리고 가장 중요한 가격? 결국 수 차례 결정을 번복한 끝에 선택을 하고 구매 버튼을 눌렀다. 11번가가 아닌 할인을 더 많이 한 인터파크에서 구매했는데, 생각보다 15인치가 휴대하기에는 커서 교환까지 했다. 이 과정으로 약 30만원 정도 절약. 노트북 이상의 금액이 들어가는 주식은 어떤가? 그동안 너무 생각없고 안이하게 투자했다는 것을 고백한다. 그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역시 어떻게 투자를 결정해야하.. 2022. 7. 12.
거시 경제를 보는 것이 과연 투자에 도움이 될까? 더 넓은 시야로, 더 긴 호흡으로 매크로, 그러니까 거시경제를 공부할 필요성과 자산 배분을 알아야 한다는 생각이 드는 요즘이었는데 마침 신한은행 오건영 부부장님의 신간 '인플레이션에서 살아남기'가 나와서 바로 읽어보았다. 오늘은 그중에서 '투자할 때 꼭 거시경제를 알아야 할까?' 부분을 정리해 보았다. 축구를 분석하는 전문가가 있다고 가정합시다. 그 전문가는 선수들 개개인의 히스토리부터 시작해서 강약점까지, 그리고 다른 국가 선수들과의 비교뿐만 아니라 정밀한 전술 분석까지 가능합니다. 물론 이 분의 분석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맞지만 만약 원정경기라면 해당 구장의 날씨, 경기장 상태를 보는 다른 전문가의 얘기도 들어보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네, 매크로 분석은 환경을 말해줍니다. 개별 기업이 양.. 2022. 7.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