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찰리 멍거35 복잡계 세상에서의 센티멘트 '복잡계 구조의 투자 환경을 이해하고, 참여하는 주체들의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며, 펀더멘털/ 유동성/ 센티멘트를 적절하게 적용한다."'복잡계 세상에서의 투자'에서 저자인 오종태 타이거자산운용 이사는 세상에 대한 이해와 투자에 있어 그 구조를 단순계와 복잡계로 구분해서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복잡계 투자를 결정하는 주요 변수들로 펀더멘탈(fundamental), 유동성(liquidity), 센티멘트(sentiment)를 꼽는데, 복잡계의 종합적인 투자에서는 이 세 가지 요소가 모두 필요조건이며, 그중 센티멘트는 과거의 단순계에 비해 그 중요성이 커졌다는 것이지요(물론 이는 시장 전체의 기준이고, 산업 혹은 종목별로는 구성비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펀더멘털, 유동성 센티멘트 순으로 파악하고 반영하기.. 2024. 10. 27. 장기적 관점의 주식투자 전략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성공적인 투기꾼들의 덧없지만 강렬한 만족감을 무엇보다 잘 이해하고 있었다.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을 쓰면서 케인스는 "인간의 본성은 결과물이 재빨리 나오기를 갈망하고, 평범한 사람들은 멀리 있는 이득일수록 더 높은 비율로 할인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는 현대의 행동 경제학자들이 '과장된 할인'의 병적 상태라고 말하는 심리다. 케인스는 이런 심리학적 특징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투자 경력 후반기에 주식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뒀다. 장기적 전망을 갖는 것은 저평가된 주식의 숨은 잠재력을 실현하게 한다는 투자 전략과 맞아떨어진다. 뿐만 아니라 그 '꾸준함' 덕분에 적극적 투자자의 자본을 잠식하는 거래비용으로부터 투자자를 지켜주기도 한다. 그는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 2024. 6. 4. 훌륭한 기업의 괜찮은 가격 초창기 버크셔 해서웨이가 겪은 불운은 케인스와 워런 버핏 모두가 가르쳐주는 교훈을 보여주는 사례다. 그 교훈은 지속 가능한 경쟁우위, 또는 워런 버핏의 용어를 빌리자면 '경제적 해자'를 확보한 기업의 지분을 취득해야 한다는 것이다. 버크셔 해서웨이가 처음에 영위했던 섬유 제조업은 높은 자본적 지출이 필요한 반면, 일반적으로 저조한 수익률을 가져다주는 1차 산업이었다. 워런 버핏은 독점적인 영업권이나 확고한 과점 체제, 잘 알려진 브랜드 네임 같은 튼튼한 진입장벽을 구축하고 있는 기업들이 장기적 투자 전망에서는 훨씬 더유리하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워런 버핏은 "순풍보다 맞바람에 더 센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위대한 기업이 순간적인 어려움에 사로잡힐 때 투자 기회가 나타난다".. 2024. 5. 28. 찰리 멍거의 제언_11 우리는 복잡한 걸 싫어하고, 낯선 시스템을 불신하고 다른 이들이 그 시스템을 지나치게 신뢰한다고 생각한다. 더 열심히 일할수록 당신의 자신감은 견고해진다. 하지만 기실 당신은 완전히 잘못된 것에 노력을 쏟아붓고 있을 수도 있다.- 지혜를 찾아서, 2003 가이코는 돈을 그렇게 많이 벌고 있으니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고 자만했다. 그 자만심 때문에 그들은 큰 손실을 경험했다. 손실을 극복하려고 그들은 모든 멍청한 짓을 깨끗이 정리하고 본연 그대로의 사업으로 다시 돌아갔다.- 남캘리포니아대학교 비즈니스 스쿨, 1994 (자신의 운전 실력을 과신하는) 스웨덴 운전자들은 투자 조언가에 비하면 소심하다고 봐야 한다. 거의 모든 투자 조언가는 증거가 어떻든 자신이 평균보다 뛰어나다고 자신한다.- 재단 직원들을 위한 .. 2024. 5. 12. 이전 1 2 3 4 ···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