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elirium8

중환자실 섬망을 예방하기 위한 야간 dexmedetomidine(precedex) 투여 용법과 결과 Low-Dose Nocturnal Dexmedetomidine Prevents ICU Delirium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Raionale Dexmedetomidine(precedex)는 benzodiazepine과 비교했을 때 delirium(섬망)을 덜 유발하고, benzodiazepine이나 propofol과 비교했을 때 sleep architecture(수면 구조)를 잘 보존한다; 하지만 sedation(진정)이 필요한 환자에서 밤 동안 dexmedetomidine을 투여했을 때 섬망과 수면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밝혀진 바 없다. Objectives 성인 중환자에게 밤 동안 dexmedetomidine을 투여하는 경우 섬망.. 2024. 4. 13.
중환자에서 발생하는 의식 변화 Sudden Deterioration in Neurologic Status Critical illness나 injury로 intensive care unit(ICU,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는 neurologic complications(신경학적 합병증) 발생의 위험이 있다. 중환자에서 갑작스럽거나 예상치 못한 neurologic condition의 변화가 나타나는 경우 이는 종종 central nervous system(CNS, 중추신경계)의 직접적인 injury를 유발할 수 있는 complication을 예고하는 신호일 수 있지만, 단순히 ICU 입실을 필요로 하는 underlying critical illness나 치료의 neurologic manifestation 일 수도 있다(eg, sepsis.. 2024. 3. 9.
섬망 발생을 줄이기 위해 멜라토닌을 예방적으로 투여한 효과는? Prophylactic melatonin for delirium in intensive care (Pro-MEDIC):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urpose 중환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delirium(섬망)은 환자와 가족에게 강한 스트레스를 줄 뿐만 아니라, 높은 morbidity 및 mortality와 관련 있다. Melatonin을 다양한 환자군에 delirium 예방 목적으로 투여한 여러 임상 연구들의 결과는 일정하지 않다. 본 연구는 중환자에게 melatonin을 예방적으로 투여했을 때 delirium이 감소하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하였다. Methods 호주에 있는 12 곳의 중환자실을 대상으로 2016년 7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진행한 multicentr.. 2024. 3. 1.
Delirium(섬망)의 약물적 예방 및 치료 현재 섬망의 치료에 임상적으로 사용하는 약물로는 전형적인 항정신병제(haloperidol), 비정형 항정신병제 (risperidone, olanzapine, quetiapine) 그리고 dexmedetomidine 등이 있다(표 9). 섬망의 약물치료 섬망을 치료하기 위해 haloperidol, 비정형 항정신병제 또는 statin을 정기적으로 혹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총 6개의 대규모 임상시험에서 상기 약제들은 섬망의 기간 감소, 중환자실 재원기간, 사망률에 유의미한 연관이 없었다. 하지만 불안, 공포, 환각, 망상 등 섬망 증상에 2차적으로 상당한 고통을 느끼거나 불안하여 자신이나 타인에게 신체적으로 해로울 수 있는 환자들은 단기적으로 haloperidol이나 비정형 항정신병제 .. 2024. 2.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