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섬망 발생을 줄이기 위해 멜라토닌을 예방적으로 투여한 효과는?

by Blueorbit 2024. 3. 1.

Prophylactic melatonin for delirium in intensive care (Pro-MEDIC):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urpose

중환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delirium(섬망)은 환자와 가족에게 강한 스트레스를 줄 뿐만 아니라, 높은 morbidity 및 mortality와 관련 있다. Melatonin을 다양한 환자군에 delirium 예방 목적으로 투여한 여러 임상 연구들의 결과는 일정하지 않다.
본 연구는 중환자에게 melatonin을 예방적으로 투여했을 때 delirium이 감소하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하였다.

 

Methods

호주에 있는 12 곳의 중환자실을 대상으로 2016년 7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진행한 multicentre,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uble-blind trial이다. 72시간 이상 중환자실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 18세 이상의 중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환자들은 중환자실 입실 48시간 이내에 연구에 참여하였다. Indistinguishable liquid melatonin (4 mg; n = 419)을 투여한 군과 placebo (n = 422)를 투여한 군으로 나누었으며, 밤 9시에 경장 투여해서 14일 연속 혹은 중환자실 퇴실 시까지 지속하였다.

 

Primary outcome은 14일 이내 혹은 중환자실 퇴실 전 delirium prevalence의 marker로 인정되는 delirium-free assements의 비율이었다. Confusion Assessment Method for ICU (CAM-ICU) score로 하루 두 번 delirium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Secondary outcome은 sleep qaulity와 sleep quantity, hospital LOS, ICU LOS, hospital mortality, 90-day mortality였다.

 

Results

연구에 포함된 847명의 환자 중 841명을 분석하였다. 양 군 간의 baseline characteristics는 비슷하였으며, 환자 당 delirium-free assessments 평균 비율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79.2 vs 80% respectively, p = 0.547).

 


Seondary outcome도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ICU LOS (median: 5 vs 5 days, p = 0.135), hospital LOS (median: 14 vs 12 days, p = 0816), mortality at any time point including at 90 days (15.5 vs 15.6% p = 0.948), nor in the quantity or quality of sleep. Melatonin으로 인해 보고된 심각한 부작용도 없었다.

 

Conclusion

중환자실에 입실하고 48시간 이내에 경장 투여하는 melatonin은 placebo와 비교해서 delirium 발생을 줄이지 못했다. 이 연구 결과는 중환자실에서 delirium을 예방하기 위해 일상적으로 melatonin을 조기에 투여하는 것이 효과가 없음을 시사한다.

 

Text

Melatonin은 pineal gland(송과체)에서 분비되는 serotonin-drived hormonem으로, sleep cycle을 조절한다. 일반 환자에게 투여 시 sleep quality를 개선시키며, melirium(섬망)의 병태생리학적 기전에서 수면 장애와 melatonin 분비 장애가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섬망 없는 환자들과 비교했을 때, 섬망이 있는 중환자, 노인 환자, 수술 후 환자에서 혈중 melatonin 농도가 저하되어 있었다. 

 

 

Melatonin은 anti-inflammatory 및 immunomodulatory property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는 brain injury, encephalopathy, neurodegenerative disease에서 neuroprotective effect를 보일 수 있다.

 

Melatonin은 안전하고, 저렴하며, 널리 사용되는 약제로서 delirium 예방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있다는 장점이 있다.

Exclusion criteria:
prior hypersensitivity reaction to study drug components, expected death within 48 h, pregnancy, breastfeeding, non-English-speaking patients for whom the treating clinician believed a delirium assessment within the next 14 days would not be possible due to persistent neurological impairment, no enteral route, hepatic impairment (alanine aminotransferase > 500 IU/L, liver transplant, or Child–Pugh B/C liver cirrhosis)

 

Reference

Prophylactic melatonin for delirium in intensive care (Pro-MEDIC):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2022 Apr;48(4):414-425.

 

2024.02.18 - [의학] - Delirium(섬망)의 약물적 예방 및 치료

 

Delirium(섬망)의 약물적 예방 및 치료

현재 섬망의 치료에 임상적으로 사용하는 약물로는 전형적인 항정신병제(haloperidol), 비정형 항정신병제 (risperidone, olanzapine, quetiapine) 그리고 dexmedetomidine 등이 있다(표 9). 섬망의 약물치료 섬망을

blueorbit.tistory.com

 

 

2022.06.25 - [의학] - 섬망의 병태생리학적 기전과 평가 방법

 

섬망의 병태생리학적 기전과 평가 방법

Delirium 발생에 대한 pathophysiology Delirium(섬망) 발생에 대한 병태생리학적 기전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음 세 가지 기전이 가설로 제시된다. 1. Neurotransmitter imbalance dopamine (과잉), acetyl

blueorbi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