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45 주식 시장의 정상 PER은? C1.5. 1990년대 말, PER은 역사적인 평균에 비해 높았다. S&P 500 주식들의 PER은 1999년도에 33으로 매우 높았다. 1970년대에는 8에 불과했다. 당신은 얼마만큼의 PER이 정상이라고 보는가?(PER는 EPS의 역수인데, 가끔 이익 수익률이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이익 수익률을 정상적으로 간주되는 약 10%의 주식수익률과 비교해 보라.)-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1990년대 후반, 특히 닷컴버블 직전이던 1999년에는 S&P 500의 주가수익비율(P/E)이 33배까지 치솟았다. 이는 투자자들이 기업이 벌어들이는 1달러의 이익에 대해 33달러를 지불했다는 뜻이다. 반면 197.. 2025. 11. 8. 수동적 투자자(Passive investor)와 능동적 투자자(Active investor)의 차이 C1.4. 수동적 투자자(passive investor)와 능동적 투자자(active investor)의 차이는? -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수동적 투자자(Passive Investor) 수동적 투자자는 시장 효율성 가설(Efficient Market Hypothesis)을 사실상 받아들인다.즉, “현재 주가는 모든 공개된 정보를 이미 반영하고 있으므로, 개별 종목 분석으로는 평균 이상의 수익을 얻기 어렵다”라고 생각한다.따라서 이들은 특정 기업의 재무제표를 분석하기보다 시장 전체를 대표하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대표적인 형태가 인덱스펀드(index fund)나 ETF이다.그 목적은 시장 평.. 2025. 11. 7. 주식의 장기 투자와 수익률 C1.3. “장기적으로 주식의 수익률은 채권보다 항상 높으므로, 무조건 장기 보유하라.”라는 주장에 대해 비판하시오.-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주식이 채권보다 수익률이 높았던 것은 ‘평균적 역사적 사실’ 일뿐이다과거 100년간 미국 주식시장의 연평균 실질수익률은 약 6~7%, 장기국채는 약 2~3% 수준이었다.하지만 이는 평균값이지 보장된 결과가 아니다.일본(1989년 이후), 유럽(2000년대 초), 혹은 특정 산업 버블 이후처럼 장기 보유에도 불구하고 20년 이상 주식이 채권보다 낮은 수익률을 기록한 사례가 존재한다. 즉, “always higher”라는 표현은 사실이 아니다. 시점과 국가,.. 2025. 11. 7. Alpha technology와 beta technology C1.2. 알파 기술(alpha technology)과 베타 기술(beta technology)의 차이는 무엇인가? -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알파 기술(Alpha Technology)알파 기술은 가치와 가격의 차이를 이용해 초과수익을 얻는 능력, 즉 information advantage 또는 analysis advantage를 의미한다. 알파 투자자는 기업의 내재가치(fundamental value)를 계산하고, 시장이 그 가치를 과소평가하거나 과대평가할 때 그 차이에서 수익을 얻는다. 따라서 알파 기술은 정보, 분석, 해석력을 기반으로 한다. 회계정보, 산업지식, 경영진의 자본배분 패턴 .. 2025. 11. 7. 이전 1 2 3 4 ··· 13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