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83 양도제한부주식(RSU) RSU(Restricted Stock Unit, 양도제한부주식)이란?회사가 임직원에게 무상으로 자사 주식을 부여하는 일종의 주식 보상 제도로, 특정 조건(보통은 근속 기간)을 충족하면 해당 주식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한다. 소니, 올림푸스, 라쿠텐 등 주요 기업이 RSU를 도입했다. 시니는 사외이사에게까지 RSU를 부여한다. RSU는 특정 조건 충족이나 일정 기간 만료 때까지 주식 소유(양도)권이 제한되는 단위(unit)를 임직원에게 부여하는 제도를 말한다. 보수의 일부는 현금으로, 나머지는 RSU로 지급하며 그 비율은 기업 사정에 따라 적절히 정할 수 있다.- 기업 밸류업의 지름길. 주식보상안. 최준선. 한경닷컴 RSU 작동 방식1. Grant회사는 임직원에게 특정 수량의 RSU를 부여한다. 이때.. 2025. 4. 20. 스터드 카드와 주식투자 솔직하게 말해서 우리가 안심할 수 있을 정도로 투자와 도박을 깔끔하게 구분할 방법은 없다. 투자에 안전한 곳과 위험한 곳을 구분해 주는 거대한 장벽이나 절대적인 기준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역사적으로 돌이켜보면, 유행이 순환하듯이 주식은 투자로 인정받았다가 도박으로 비난받으며 배척당하기를 되풀이했다. 그러나 대개 그 순환주기가 잘못되었다. 주식은 실제로는 가장 위험한 시점에 신중한 투자로 인정받는 경향이 있다. 투자에 위험요소가 뒤따른다는 사실을 일단 받아들이면 우리는 채권 매수, 주식 매수, 경주마 선택과 같은 유형이 아니라 투자자의 기술, 노력, 모험심에 따라 도박과 투자를 구분할 수 있다. 체계적인 원칙을 고수하는 노련한 경마 도박사라면, 경마로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 2025. 4. 20. 총 도달 가능 시장의 중요성 총 도달 가능 시장(Total Addressable Market, TAM)은 가장 중요한 펀더멘털이며 결국 주가를 움직이는 매출의 두 번째 핵심 동인(나머지는 끈질긴 제품 혁신, 거대한 시장 기회, 강력한 가치 제안, 훌륭한 경영진)이다. 금융계에서는 대수의 법칙이라는 개념이 있다. 이 개념은 통계 및 확률 정리를 조악하게 만든 것으로 기본적으로 기업의 규모가 커질수록 성장률은 둔화될 수밖에 없다는 이론이다. 맞는 말이지만 늘 그런 것은 아니다. 여기 하나의 사고 실험이 있다. 회사 두 곳이 있고 A사의 연 매출은 100억 달러, B사의 연 매출은 1,000억 달러다. 모든 조건이 같다면 어떤 회사가 더 빨리 성장할까? 대수의 법칙에 의하면 A사가 더 빨리 성장할 것이다. 그러나 A가 경쟁하는 시장은 5.. 2025. 4. 19. 아베 슈헤이의 가치투자 아베 슈헤이에게 가치투자는 투자 대상의 진정한 가치와 시장 가격의 차이를 이용한 차익 거래 기회다."스스로에게 질문해야 합니다. 이 사업은 왜 돈이 벌리는가? 최적의 성과를 낼 수 있는 영역은 어디인가? 그다음에는 경영자의 관점에서 그 사업의 가치가 얼마인지 생각해야 합니다. 투자 분석은 예술이고 과학입니다. 투자의 예술적 혹은 정성적 측면은 타고나야겠지만 때로는 경험이 타고난 것을 발전시킵니다." 오랜 세월에 걸쳐 아베가 배운 것은 '집중'이다. 현명한 투자자는 다양한 유형의 투자 대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대신 특정한 유형의 자산에 전념해야 하고 자신의 성격과 위험 감수 성향에 가장 적합한 자산을 찾아야 한다."투자자에게는 집중력과 함께 비전도 필요합니다. 세상은 직선적으로 분석할 수 없기 때문에 기회.. 2025. 4. 19. 이전 1 2 3 4 ··· 1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