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패혈성 쇼크9

Septic shock(패혈성 쇼크) 환자에서 IV thiamine 투여 Association Between IV Thiamine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Septic Shock: A Nationwide Observational Study Objectives Norepinephrine을 투여받는 패혈성 쇼크(septic shock) 환자에서 thiamine의 투여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 Design, setting, patients, and interventions 2010년 7월부터 2017년 3월 기간 동안의 후향적 관찰 코호트 연구. 일본의 전체 3차 응급 의료기관의 대략 90%를 차지하는 1,000개 이상의 급성기 병원. 입원 후 이틀 이내에 norepinephrine 투여가 필요했던 패혈성 쇼크 환자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입원.. 2024. 3. 29.
패혈성 쇼크 환자에서의 glucocorticoid 치료 Sepsis(패혈증)와 septic shock(패혈성 쇼크) 환자에서 clinical course는 매우 다양하다. Sepsis와 관련된 immunologic factor(cytokine 등) 뿐만 아니라 원인 질환 역시 hypothalamic-pituitary axis에 영향을 미친다. Septic shock의 early phase와 달리, adrenal cortisl release는 회복되면서 absolute steroid level이 normal range 근처 혹은 그 이상으로 오르는 relative adrenal insufficiency(RAI)에 이르게 된다. Refractory septic shock에서 RAI은 50%에서 70%까지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게다가 중환자실에서 dynamic.. 2024. 3. 29.
패혈성 쇼크 환자에서 수액을 선택할 때 고려할 사항 Septic shock(패혈성 쇼크) 환자에서 resuscitation(소생술)을 할 때 선택해야 하는 fluid type으로 crystalloid, 그중에서도 balanced solution을 권고한다. 이전에는 intravascular volume을 더 오래 유지한다는 이유로 colloid를 선택하라는 시기도 있었지만, crystalloid와 비교했을 때 mortality에서는 별 차이가 없고 오히려 acute kidney injury 등의 morbidity를 높인다는 이유로 선택지가 바뀐 것이다. Resuscitation(소생술)에서 어떤 type의 fluid를 선택할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colloid와 crystalloid 간의 contex-sensitive half-time을 알아야 하는데, .. 2024. 3. 28.
Septic shock(패혈성 쇼크) 환자에서 normalized lactate load와 사망률 간의 관계 Association between normalized lactate load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septic shock: an analysis of the MIMIC-III database Background "Normalized lactate load"라고 불리는 변화의 정도와 시간 간격을 모두 포함하는 dynamic lactate change(동적 젖산 변화)의 index는 septic shock(패혈성 쇼크)의 hypoxic burden(저산소 정도)을 반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 septic shock 환자에서 normalized lactate load와 29일 사망률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Methods Medical information Mart.. 2024. 3.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