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모닝스타 성공투자 5원칙8

복리승수 계산 가치평가 과정에서 꼭 알아야 하는 개념으로 복리승수를 들 수 있다. 채권형 주식의 미래 가치 또는 현재 가치를 계산하는 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다시 쓰는 주식투자 교과서(서준식 저, 에프엔미디어)'에서 이에 대한 정의와 예시가 있어 참고해 보았다. 문제 예시"1만 원을 11%의 수익률로 5년 동안 투자했을 때 나오는 5년 뒤의 원리금 또는 미래 가치는 얼마인가?" 답안 예시1만 원을 11%로 1년간 투자했을 때 1년 뒤 미래 가치는 1만 원 x (1 + 0.11) = 1.11만 원2년간 투자했을 때 2년 뒤 미래 가치는 1만 원 x (1 + 0.11) x (1 + 0.11) = 약 1.23만 원3년간 투자했을 때 3년 뒤 미래 가치는 1만 원 x (1 + 0.11) x (1 + 0.11) x (1 + .. 2024. 5. 7.
PBR(Price-to-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 PBR = 시가총액 / 순자산 or 주가 / 1주당 순자산 장부가치 = 주주자본 = 순자산 = 자산 - 부채 PBR은 미래의 이익이나 현금흐름은 순간적인 것이므로 믿을 수 있는 것은 현재의 기업 유형자산의 순가치밖에 없다고 가정한다. 흔히 청산가치를 기반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라고도 한다. 기업의 순자산은 '적정하게 평가되었다면' 사업을 당장 청산하고 자산을 모두 매각했을 때 수중에 남는 돈을 뜻한다. 워런 버핏의 정신적 스승이자 전설적인 가치투자자인 벤저민 그레이엄은 주식 평가 시 장부가치와 PBR의 중요성을 크게 옹호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이런 식의 설명은 많은 오해를 낳는데, 순자산은 실제 청산 가치와 많이 다르다. 자산을 급하게 매각하려면 예상보다 많은 비용을 치르거나 생각보다 낮은 가격에 매각해야 .. 2024. 4. 10.
손익계산서의 구성_모닝스타 성공투자 5원칙 수익 수익은 매출액이라는 이름으로도 사용되며, 기업이 한 분기 또는 한 해 동안 얼마나 많은 돈을 벌었는지를 보여주는 수치이다. 대기업의 경우 손익계산서상에 수익을 게재할 때 사업 부문이나 지리적 영영, 제품, 서비스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올바른 판단을 내리려면 재무제표 안에 숨어 있는 '수익 인식의 원칙(revenue recognition policies)'를 확인해야 한다. 기업이 어떤 사업을 하느냐에 따라서 수익을 기록하는 시기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매출원가 노무비나 원재료비(제조기업), 도매원가(소매기업) 등 기업의 수익 창출 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비용을 말한다. 제조와 서비스 제공을 겸하는 대기업은 이 비용을 매출원가와 서비스원가로 나눠서 기록하기도 한다. 매출총이익 모든 손익계산서.. 2024. 3. 26.
재무상태표의 구성_모닝스타 성공투자 5원칙 재무상태표는 기업이 얼마나 많이 소유하고 있는지(자산), 얼마나 많이 빚지고 있는지(부채), 양자의 차이가 얼마인지(자본) 알려준다. 채권 바랭 등으로 인해 부채가 증가하면, 채권 판매를 통해 현금이 늘어나므로 자산도 증가한다. 기업이 자산 증가로 인해 많은 이익을 창출한다면 자본 역시 증가한다. 기업이 많은 돈을 벌면 주주들이 기업에 투자한 돈의 가치도 늘어나기 때문이다. 자산 유동자산 1 영업주기 즉, 1년 이내에 다 사용되거나 현금으로 전환될 수 있는 자산을 말한다 현금 및 현금등가물, 단기투자증권 현금 및 현금등가물은 일반적으로 신속하게 그리고 최소한의 가격 위험을 감당하면서 유동화가 가능한 MMF 등을 포함한다. 단기투자증권은 현금과 비슷하지만 일반적으로 만기가 1년 미만이거나 현금보다는 수익률.. 2024. 3.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