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워런 버핏37

장기적 관점의 주식투자 전략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성공적인 투기꾼들의 덧없지만 강렬한 만족감을 무엇보다 잘 이해하고 있었다.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을 쓰면서 케인스는 "인간의 본성은 결과물이 재빨리 나오기를 갈망하고, 평범한 사람들은 멀리 있는 이득일수록 더 높은 비율로 할인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는 현대의 행동 경제학자들이 '과장된 할인'의 병적 상태라고 말하는 심리다. 케인스는 이런 심리학적 특징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투자 경력 후반기에 주식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뒀다. 장기적 전망을 갖는 것은 저평가된 주식의 숨은 잠재력을 실현하게 한다는 투자 전략과 맞아떨어진다. 뿐만 아니라 그 '꾸준함' 덕분에 적극적 투자자의 자본을 잠식하는 거래비용으로부터 투자자를 지켜주기도 한다.  그는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 2024. 6. 4.
훌륭한 기업의 괜찮은 가격 초창기 버크셔 해서웨이가 겪은 불운은 케인스와 워런 버핏 모두가 가르쳐주는 교훈을 보여주는 사례다. 그 교훈은 지속 가능한 경쟁우위, 또는 워런 버핏의 용어를 빌리자면 '경제적 해자'를 확보한 기업의 지분을 취득해야 한다는 것이다. 버크셔 해서웨이가 처음에 영위했던 섬유 제조업은 높은 자본적 지출이 필요한 반면, 일반적으로 저조한 수익률을 가져다주는 1차 산업이었다. 워런 버핏은 독점적인 영업권이나 확고한 과점 체제, 잘 알려진 브랜드 네임 같은 튼튼한 진입장벽을 구축하고 있는 기업들이 장기적 투자 전망에서는 훨씬 더유리하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워런 버핏은 "순풍보다 맞바람에 더 센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위대한 기업이 순간적인 어려움에 사로잡힐 때 투자 기회가 나타난다".. 2024. 5. 28.
가치와 가격 그리고 가치투자자 가격은 여러분이 지불하는 것이고, 가치는 여러분이 그 대가로 얻는 것입니다.- 워런 버핏 장기적으로 볼 때 주식의 수익률이 채권보다 더 높다는 사실에 반박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주식이 지닌 변동성 때문에 아직도 많은 이들이 주식 투자를 꺼린다. 하지만 주식의 위험은 순전히 주식을 보유하는 기간에 달려 있다.- 제레미 시겔. '투자의 미래'  벤저민 그레이엄은 다음과 같은 가정에 바탕을 두고 비정상적으로 싼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했다.첫째, 그는 주식시장의 주가는 종종 왜곡되는 경우가 많다고 믿었다.둘째, 주식 가격은 결국 통계적으로 보더라도 정상가격으로 돌아가게 마련이라는 믿음이다.- 로버트 해그스트롬. '워렌 버핏 투자법' 성장 기업들은 짜릿할 뿐만 아니라 인상적으로 보.. 2024. 5. 26.
벤저민 그레이엄의 세 가지 교훈 워런 버핏은 벤저민 그레이엄에게서 투자의 85%를, 필립 피셔로부터 15%를 배웠다고 하면서 기회가 있을 때마다 그의 스승인 벤저민 그레이엄을 찬양합니다. 그레이엄의 세 가지 교훈은 벤저민 그레이엄의 핵심 이론을 다루고 잇는데, 우리 가치투자자들이 금과옥조로 삼아야 할 가르침입니다. 교훈 1: 기업 소유권으로서의 투자투자와 투기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며, 오로지 투기가 아닌 투자만을 하라. 투자는 사업과 닮았을 때 가장 현명한 것이므로 주식을 가격에 따라 사고파는 종이 쪼가리가 아닌 진짜 회사에 대한 소유권으로 봐야 한다.  교훈 2: 미스터 마켓의견이 아니라 사실에 근거해서 투자해야 한다. 우리가 기업의 실질 가치를 알고 있다면 이익이 되는 경우에 한해서 그 주식을 사거나 팔면 된다. 그날의 기분에 따.. 2024. 5.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