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U(Restricted Stock Unit, 양도제한부주식)이란?
회사가 임직원에게 무상으로 자사 주식을 부여하는 일종의 주식 보상 제도로, 특정 조건(보통은 근속 기간)을 충족하면 해당 주식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한다.
소니, 올림푸스, 라쿠텐 등 주요 기업이 RSU를 도입했다. 시니는 사외이사에게까지 RSU를 부여한다. RSU는 특정 조건 충족이나 일정 기간 만료 때까지 주식 소유(양도)권이 제한되는 단위(unit)를 임직원에게 부여하는 제도를 말한다. 보수의 일부는 현금으로, 나머지는 RSU로 지급하며 그 비율은 기업 사정에 따라 적절히 정할 수 있다.
- 기업 밸류업의 지름길. 주식보상안. 최준선. 한경닷컴
RSU 작동 방식
1. Grant
회사는 임직원에게 특정 수량의 RSU를 부여한다. 이때는 아직 실제 주식을 받는 것이 아니라, 미래에 주식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얻는 것이다.
2. Vesting
부여된 RSU는 일정 기간 동안의 근속 또는 특정 성과 목표 달성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실제 주식으로 전환된다. 이 기간을 베스팅 기간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매년 일정 비율로 베스팅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4년 베스팅 조건이라면 매년 25%씩 주식을 받게 된다.
3. Settlement
베스팅 조건을 충족하면 해당 RSU만큼의 자사 주식을 임직원에게 지급한다. 이때 세금 및 사회보험료가 원천징수될 수 있다.
RSU의 장점
1. 직원의 동기 부여 및 장기근속 유도: 주가 상승 시 이익을 얻을 수 있으므로 직원들의 회사 성장에 대한 동기 부여 효과가 크고, 베스팅 기간 동안 장기근속을 유도할 수 있다.
2. 별도의 매입 자금 불필요: 스톡옵션과 달리 직원이 주식을 매입하기 위한 별도의 자금이 필요하지 않다.
3. 회사의 현금 부담 감소: 현금 보상 대신 주식으로 보상하므로 회사의 현금 유출을 줄일 수 있다.
RSU 관련 세금
RSU가 베스팅되어 주식으로 지급되는 시점에 해당 주식의 시장 가치는 근로소득으로 간주되어 소득세 및 지방세, 사회보험료 등이 부과된다. 주식을 실제로 매도할 때 발생하는 차익에 대해서는 양도소득세가 부과될 수 있다.
RSU vs. Stock options(스톡옵션)
RSU | Stock Options | |
획득 방식 | 조건 충족 시 무상으로 주식 지급 | 일정 기간 후 미리 정해진 가격(행사가)으로 회사 주식 매수 가능 |
매입 자금 | 불필요 | 필요 |
세금 발생 시점 | 베스팅 시점(근로소득세 등) 및 주식 매도 시(양도소득세) |
행사 시(경우에 따라) 및 주식 매도 시(양도소득세) |
가치 | 주식 자체의 가치 | 행사가와 시장 가격 차이 발생 시 가치 발생 |
위험도 | 비교적 낮음(주가 하락 시에도 일부 가치 유지) | 비교적 높음(주가가 행사가 이하로 하락 시 가치 없음) |
투자자 입장에서의 RSU
Pros.
1. 우수 인재 유치 및 유지
RSU는 경쟁력 있는 보상 패키지의 중요한 요소로서, 회사가 핵심 인재를 유치하고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는 장기적인 회사 성장과 경쟁력 강화로 이어져 투자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직원의 동기 부여 및 성과 향상
RSU는 직원들에게 회사 주식을 보유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직원들이 주주와 동일한 입장에서 회사의 성장에 기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이는 생산성 향상과 실적 개선으로 이어져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3. 주주와의 이해관계 일치
RSU는 직원들의 보상을 회사의 주가와 연동시킴으로써, 경영진과 직원들이 주주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는 책임 경영 강화로 이어져 투자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4. 비현금 보상의 활용
현금 보상 대신 RSU를 활용하면 회사는 현금 유출을 줄일 수 있어 재무 건전성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는 투자 안정성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Cons.
1. 주석 희석(Dilution)
RSU가 베스팅되어 실제 주식으로 전환되면, 총 발행 주식 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는 기존 주주들의 지분율이 낮아지고, 주당 순이익(EPS)이 감소하는 주식 희석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과도한 RSU 발행은 주가 상승을 제한하는 요인이 될 수 있어 투자 수익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AMZN의 사례에서도 2024년에 주식 수가 증가한 것이 주식 희석의 한 예시이다.
2. 비용 증가
RSU는 회계상 비용(영업비용)으로 처리된다. 특히 베스팅 기간 동안 주가 상승이 예상되는 경우, 회사는 미래에 지급해야 할 주식의 가치 상승분을 비용으로 인식해야 하므로 영업이익 감소에 영향을 줄 수 있다.
3. 경영진의 단기적 이익 치중 우려
일부 투자자들은 경영진이 장기적인 회사 가치 성장보다는 단기적인 주가 상승에 치중하여 과도하게 RSU를 발행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투자가가 RSU에 대해 확인해야 할 사항
1. RSU 발행 규모
발행량이 과도한지, 적절한 수준인지 평가해야 한다.
2. 베스팅 조건
베스팅 기간과 조건이 회사의 장기적인 성장과 직원의 장기근속을 유도하는 데 효과적인지 확인해야 한다.
3. 회사의 성과 및 성장 전망
RSU가 회사의 미래 성장 가능성과 어떻게 연관되는지 분석해야 한다.
4. 경영진의 보상 정책
경영진의 보상 구조에서 RSU가 차지하는 비중과 그 적절성을 평가해야 한다.
5. 주식 희석 수준
과거 및 미래의 예 주식 희석 수준을 분석하고, 이것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2025.04.19 - [투자] - 총 도달 가능 시장의 중요성
총 도달 가능 시장의 중요성
총 도달 가능 시장(Total Addressable Market, TAM)은 가장 중요한 펀더멘털이며 결국 주가를 움직이는 매출의 두 번째 핵심 동인(나머지는 끈질긴 제품 혁신, 거대한 시장 기회, 강력한 가치 제안, 훌륭
blueorbit.tistory.com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고자산과 범주 (1) | 2024.12.18 |
---|---|
재무제표를 볼 때 답해야 할 사항_워런 버핏의 주주서한 (2) | 2024.12.15 |
현금흐름표 빠르게 확인하기_주식투자자 관점에서 재무제표 행간을 읽어라 (0) | 2024.12.11 |
무형자산_개발비 (1) | 2024.12.02 |
착한 부채 선수금 (2) | 2024.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