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Delirium(섬망)의 약물적 예방 및 치료

by Blueorbit 2024. 2. 18.

현재 섬망의 치료에 임상적으로 사용하는 약물로는 전형적인 항정신병제(haloperidol), 비정형 항정신병제 (risperidone, olanzapine, quetiapine) 그리고 dexmedetomidine 등이 있다(표 9).

 

섬망 치료제 용량 및 용법

 

섬망의 약물치료

섬망을 치료하기 위해 haloperidol, 비정형 항정신병제 또는 statin을 정기적으로 혹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총 6개의 대규모 임상시험에서 상기 약제들은 섬망의 기간 감소, 중환자실 재원기간, 사망률에 유의미한 연관이 없었다. 하지만 불안, 공포, 환각, 망상 등 섬망 증상에 2차적으로 상당한 고통을 느끼거나 불안하여 자신이나 타인에게 신체적으로 해로울 수 있는 환자들은 단기적으로 haloperidol이나 비정형 항정신병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비정형적 항정신병제는 haloperidol 보다 피라미드바깥길증상(extrapyramidal symptoms) 부작용의 발생이 더 적어 선호되고 있다. 하지만, 비정형 항정신병제는 torsades de pointes의 위험성이 있는 환자(심전도상 QT 간격 연장, QT 간격을 연장시키는 약물 복용 환자, 부정맥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에서는 사용이 추천되지 않는다.

 

기계환기 의존 환자 중에서 인한 초조 증상으로 인하여 기계환기의 이탈/발관이 지연되는 섬망 환자에서는 dexmedetomidine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

 

Benzodiazepine은 섬망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로 알려졌으나 환자의 초조가 증가했거나 알코올 또는 benzodiazepine 금단으로 인해 발생한 2차적인 섬망 증상일 경우 사용한다. 또한 진단기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섬망 증상(subsyndromal, 아증후군성)을 일부 보이는 환자에게 haloperidol 혹은 비정형 항정신병제를 사용하는 것이 섬망 발생 및 환자의 예후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

Al-Qadheeb NS et al. Preventing ICU Subsyndromal Delirium Conversion to Delirium With Low-Dose IV Haloperidol: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ilot Study. Crit Care Med. 2016;44(3):583-91.

 

섬망의 예방


약물적 예방

성인 중환자에서 섬망을 예방하기 위해 haloperidol, 비정형 항정신병제, dexmedetomidine, statin 또는 ketamine 등의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약물에 대한 각 연구들에서 섬망 발생률은 감소했지만, 기계환기 적용시간, 중환자실 체류기간 및 사망률에 대해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으며, 약물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발생 위험이 있어 비약물적 예방 방법이 중환자실 환자의 섬망 발생의 감소에 도움이 된다.

Van den Boogaard M et al. Effect of Haloperidol on Survival Among Critically Ill Adults With a High Risk of Delirium: The REDUCE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2018;319(7):680-90.

Skrobik Y et al. Low-Dose Nocturnal Dexmedetomidine Prevents ICU Delirium.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Am J Respir Crit Care Med. 2018;197(9):1147-56.

 

또한 진단기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섬망의 증상을 일부 보이는 환자에게 haloperidol 혹은 비정형 항정신병제를 사용하는 것이 섬망의 발생 및 환자의 예후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

 

Reference

2021 성인중환자실에서 통증, 진정 및 섬망, 부동화 및 수면장애 예방의 임상진료지침, 대한중환자의학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