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elirium8

섬망의 정의와 위험 인자 Delirium(섬망)의 정의 1. 집중, 유지, 또는 주의를 전환하는 능력이 감소된 의식 장애(disturbance of consciousness). 즉,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의 명확성이 감소. 2. 인지(cognition) 능력의 변화(eg, memory deficit, disorientation, language disturbance) 혹은 perceptual disturbance (인지 장애). 이는 기존에 있었거나 진단받았거나 진행 중인 dementia(치매)로 설명되지 않는다. 3. 이러한 장애는 단기간(보통 몇 시간에서 며칠) 동안 나타나며 하루 중에도 변동하는 경향이 있다. 4. 병력, 신체검사 또는 lab. 소견에서 이 장애가 일반적인 의학 상태나, 약물 사용 또는 한 가지 이상의 원인.. 2024. 1. 21.
섬망이 발생한 중환자에서 haloperidol과 ziprasidone의 효과 비교 Haloperidol and Ziprasidone for Treatment of Delirium in Critical Illness BACKGROUND 중환자에서 발생하는 섬망의 치료제에 대한 여러 연구들에서 상충되는 결과가 있다. METHODS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로서, acute respiratory failure 혹은 shock을 진단받은 환자에서 hypoactive 혹은 hyperactive delirium이 발생한 경우, IV bolus로 haloperidol(maximum dose, 20 mg daily), ziprasidone(maximum dose, 40 mg daily), 혹은 placebo를 투여한 group으로 나누.. 2023. 11. 19.
섬망의 예방과 치료 Delirium(섬망)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evidence-based strategies와 protocol의 개발을 위해 현재 비약리학적 및 약리학적 접근에 대한 여러 건의 RCT가 진행되고 있다. 안정적이었던 환자에서 agitation(진전)이나 delirium이 발생한다면 약물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먼저 근본적인 유발 원인을 찾아야 한다. 생명을 위협하는 문제(eg, hypoxia, self-extubation, pneumothorax, hypotension)나 가역적인 급성 생리학적 원인(hypoglycemia, metabolic acidosis, stroke, seizure, pain)에 대한 빠른 평가가 이뤄줘야 한다. IWATCHDEATH, DELIRIUM와 같은 mnemonics가.. 2022. 7. 1.
섬망의 병태생리학적 기전과 평가 방법 Delirium 발생에 대한 pathophysiology Delirium(섬망) 발생에 대한 병태생리학적 기전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음 세 가지 기전이 가설로 제시된다. 1. Neurotransmitter imbalance dopamine (과잉), acetylcholine (상대적인 결핍), γ-aminobutyric acid (GABA), serotonin, endorphins, norepinephrine, glutamate와 같은 여러 neurotransmitter(신경 전달 물질)이 관련되어 있다. 2. Inflammatory mediators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α), interleukin-1 (IL-1), 및 기타 cytokines, che.. 2022. 6.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