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찰리 멍거35 찰리 멍거의 제언_10 조잡한 휴리스틱을 기반으로 개연성을 추론하려고 하면, 인간의 두뇌는 비수학적이기 때문에 편견이 생기고, 그 편견이 종종 잘못된 방향으로 인간을 인도한다.- 하버드 대학교, 1995 성향이 있다는 것은 대개 나쁜 것이 아니라 좋은 것이다. 그렇지 않았다면, 성향이란 게 남아 있지 않았을 것이다. 인간 뇌 용량의 한계와 마구 변하는 컨디션을 생각하면 성향은 인간에게 매우 유용하다. 그래서 성향은 자동적으로 없어질 수도 없고 없어져서도 안 된다... 성향이 있다고 해서 운명이 정해지는 것이 아니다. 성향의 존재와 해독제를 알고 있으면, 몰랐을 때에는 피할 수 없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하버드 대학교, 1995 세상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인지와 행동을 바꾸는 데 당근과 채찍이 얼마나 중요한지 스스로 잘 알고.. 2024. 5. 10. 찰리 멍거의 제언_09 세속적 지혜의 기본은 무엇일까? 첫 번째 룰은, 단편적인 사실을 개별적으로만 기억한다면 이리저리 굴려봤자 아무 짝에도 소용없다는 것이다. 촘촘하게 짜인 이론에 근거하여 제대로 엮은 사실이 아니라면 어디에도 쓸 수가 없기 때문이다.- 남캘리포니아대학교 비즈니스 스쿨, 1994 제대로 투자하려면, 큰 원칙에 근거한 원대한 아이디어들을 제대로 이용하고, 그들 모두를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몇 개만 사용하는 것은 소용이 없다. 사람들은 대부분 세상을 이해하는데 경제학 같은 단 한 개의 모델만 사용하고, 모든 문제를 그 모델로 다 풀어낼고 든다. 격언을 하나 예로 들어보자. "망치를 든 사람에게는 세상이 못처럼 보인다." 그런 태도는 문제를 해결하는 매우 미련한 방식이다.- 웨스코 연례 주주 총회, 2000 .. 2024. 5. 2. 찰리 멍거의 제언_08 주식을 바라보는 최고의 방식은 이를 사업에 대한 소유권이라고 보는 것이다.- 하버드 법률 회보, 2001 뛰어난 투자자가 되는 방법을 알면 당신은 뛰어난 경영자가 될 수 있다. 그 반대 역시 마찬가지다.-키플링어, 2005 가격의 모멘텀이 아니라 내재가치와 가격을 비교해서 주식을 사고팔아야 한다.- 찰리 멍거 자네가 옳아, 2000 이상 행동이란 인간의 자연스러운 반응이다. 어떤 특정한 상황이 닥치면 인간 집단은 (집단 자살하는) 레밍스 같아져서, 아무리 똑똑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개개인으로서는 절대 할 것 같지 않은 어처구니없는 사고방식과 행동을 보여준다.- 필랜스러피 라운드테이블, 2000 대중을 따라 하는 것은 평균으로 후퇴하겠다는 말이다.- 가난한 찰리의 연감, 2005 특정한 결과에 관심이 있어.. 2024. 5. 1. 찰리 멍거의 제언_07 지성을 갖춘 사람들은 기회비용에 근거해서 의사 결정을 한다. 즉, 대안이 무엇인지를 고려하는 것이다. 우리는 그렇게 결정을 내린다.- 버크셔 연례 주주 총회, 2003 나는 EBIDTA라는 단어를 듣는 것조차 싫다.- 6개 비즈니스 스쿨과의 Q&A, 2009 규모의 경제 측면에서, 나는 체인스토어가 굉장히 흥미롭다. 생각해 보라. 체인스토어라는 개념 자체가 기막힌 발명이다. 체인스토어는 엄청난 구매력을 가지게 되어서 구입 가격을 할인받는다. 다양하게 실험할 수 있는 작은 연구소를 잔뜩 가지고 있는 셈이다. 게다가 전문화도 이룰 수 있다. 만약 (소매점 주인이) 방문 판매원이 들고 다니는 27개의 카탈로그에서 상품을 구입한다면 멍청한 선택을 안 할 수가 없다. 그러나 여러 개의 가게를 운영하는 본부가 구매.. 2024. 4. 29. 이전 1 2 3 4 5 ···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