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220 섹터를 분석할 때 참고할 체크리스트 투자자는 기업을 분석할 때 섹터, 업종 간의 특수한 점과 차이점을 알고 있어야 한다. '모닝스타 성공투자 5원칙(팻 도시 저. 지승룡, 조영로, 조성숙 역. 이콘)'에는 각 섹터의 분석 시 유념해야 할 점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는데, '투자자의 체크리스트' 부분은 다음과 같다. 미디어 - 풍부한 잉여현금흐름을 일관되게 창출하는 기업을 찾아야 한다. 잉여현금흐름이 10%를 넘는 기업이 좋다. - 원래의 시장에서 높은 시장점유율을 지닌 회사를 찾아야 한다. 독점은 기업에 많은 이익을 제공해준다. 특히 방송에서는 라이선스가 경쟁을 줄여주고 높은 이익마진을 유지해준다. - 무리 없는 인수 활동을 통해 이익 마진을 늘린 전적이 있는 기업을 찾아야 한다. - 강력한 재무상태표를 가진 미디어 기업은 주주 가치에 위해를.. 2022. 9. 12. 찰리 멍거의 참을성 '워런 버핏의 위대한 동업자 찰리 멍거'의 저자 트렌 그리핀은 투자와 직결된 멍거의 아이디어와 방법을 잘 이해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의 세 가지 요소로 기본 원칙(Principles), 적절한 품성(The right snuff), 변수(Variables)를 제시합니다. 이중 적절한 품성에서 참을성에 대한 찰리 멍거의 의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성공이란 오랫동안 참을성 있게 기다리다가 적시에 과감하게 행동하는 것을 뜻한다. (굉장한 투자처를 찾는 일이) 항상 생긴다면 정말 좋을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우리는 마음이 흔들려야 한다는 충동을 받지 않는다. 우리는 정말 괜찮은 한 건이 다가올 때까지 기꺼이 기다릴 준비가 되어 있다. 어떤 때에는 우리는 투자할 적당한 곳을 찾으려고 정말 오랜 .. 2022. 9. 11. 투자철학, 원칙, Why, How, What 많은 초보 투자자들이 시장에서 소중한 돈을 잃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자신만의 투자철학과 원칙이 없기 때문일 것이다. 주변에서, 뉴스에서, 책에서 추천하는 종목에 투자하고 처음에 수익을 얻었다고 하더라도 하락은 당연히 올 수 있는데 이때 비자발적인 장기투자자가 되거나 손절을 해버린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말 그대로 '초보'인데 투자철학과 원칙이 있을 리 없다. 결국 투자와 자신은 맞지 않다고 투자를 접거나 아니면 계속 수업료를 내면서공부하게 되고 자신의 투자철학과 원칙을 만들어가게 된다. 수업료. 수업료는 당연히 누구나 내게 되겠지만, 그 정도는 개인마다 다르다. 단순히 수익을 버는 몇 가지 방법이 아닌 평생 가져갈 수 있는 나만의 원칙을 어떻게 하면 만들어갈 수 있을까? 어떤 방식으로 공부를 해나가야 .. 2022. 9. 5. 경제적 자유를 이루는 다양한 방법, 노력, 운_FIRE 주말 동안 강환국 님의 'FIRE(파이어)'를 읽었다. 경제적 자유를 이루려면(추후 은퇴는 선택) 우선 노력이 필요하고 그래야 운도 잡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큰 기대를 하지 않고 읽었지만, 최근 고민을 하고 궁금해하던 부분들에 대한 팁도 얻을 수 있었다. 샐러리맨을 하면서 최고, 즉 임원이 될지 아니면 꼭 필요한 일만 하고 정시 퇴근해서 투자나 부업의 길로 갈지 그 기로를 빨리 정해야 합니다. 임원이 되겠다고 결심했으면 본업에 집중해서 야근도 좀 하고, 인맥도 쌓아야 합니다. 투자나 부업에 집중하겠다고 결심했으면 본 업무는 최소화하고 경매 강의를 듣든, 투자를 하든, 창업 준비를 하든 뭔가 준비를 해야죠. 이 두 길 중 하나를 선택하지 않고 어정쩡하게 회사를 다니는 것이 최악이라고 봅니다. 포커.. 2022. 9. 4. 이전 1 ··· 49 50 51 52 53 54 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