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otrope Use and Intensive Care Unit Mortality in Patients With Cardiogenic Shock:
An Analysis of a Large Electronic Intensive Care Unit Database
Purpose
본 연구는 cardiogenic shock(CS, 심인성 쇼크) 환자에게 inotrope(강심제)를 투여했을 때 mortality(사망률)을 낮추는 데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Methods
eICU database를 이용해서 2014년과 2015년에 CS로 ICU에 입실한 34,381명의 중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입원 기간 중 inotrope를 투여받았는지에 따라 inotrope group과 non-inotrope group으로 비교하였다. Primary outcome은 all-cause hospital mortality였으며, secondary outcome은 all-cause ICU mortality, severe acute renal failure (ARF), ICU length of stay (LOS), duration of ventilation, hospital LOS였다.
Findings
총 15,021 (43.69%)의 환자가 inotrope를 투여받았다. In-hospital mortality rate은 inotrope group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2,999 [24.03%] vs. 1,547 [12.40%], adjusted hazard ratio: 2.24;95% confidence interval [CI]: 2.09–2.39;p<0.0001).
Cardiac index에 따라 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시행하고 양 group에 359명의 환자가 각각 배정되었다. ICU mortality 위험(OR 5.65, 95% CI, 3.17–10.08, p <0.001)과 hospital mortality에 대한 위험(OR 2.63, 95% CI:1.75–3.95, p <0.001)은 모두 inotrope group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Inotrope group을 분석했을 때 0.1 μg/kg/min 이하로 norepinephrine을 투여받은 환자들과 15 μg/kg/min 이하로 dopamine을 투여받은 환자군에서는 hospital mortality 위험이 높지 않았다. Milrinone을 투여받은 환자들은 mortality 위험이 더 낮았다(odds ratio: 0.559, 95% CI: 0.430–0.727, p <0.001). 반면 0.1 μg/kg/min 이상의 dobutamine, epinephrine, norepinephrine을 투여받은 환자들과 15 μg/kg/min 이상의 dopamine을 투여받은 환자들은 hospital mortality 위험성이 더 높았다.
Conclusions
Cardiogenic shock 환자에게 inotrope을 투여하는 경우 mortality 증가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 환자군에게 저용량의 norepinephrine과 milrinone 투여는 mortality 감소와 연관이 있으므로 고용량의 inotrope가 필요한 경우 supportive therapy로 선택할 수 있으며, cardiac assistance를 치료 초기부터 고려해야 한다.
Text
여러 연구들에 따르면 inotropes가 cardiogenic shock 환자들의 mortality를 낮추는 효과를 밝히는데 실패했다고 보고했다.
이뿐만 아니라 불량한 예후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들도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inotropes는 dobutamine, dopamine, epinephrine, norepinephrine, milrinone였으며 모두 continuous infusion으로 주입하였다.
Low-dose (LD), middle-dose (MD), and high-dose (HD) dopamine:
≤ 5 μg/kg/min, 5 – 15 μg/kg/min, > 15 μg/kg/min
LD and HD norepinephrine:
≤ 0.1 μg/kg/min, > 0.1 μg/kg/min
LD and HD epinephrine
≤ 0.1 μg/kg/min, > 0.1 μg/kg/min
본 연구의 limitation 중 하나로 invasive blood pressure, central venous prssure와 같은 hemodynamic prarmeter를 분석하지 않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에 대해 cardiac index에 따라 PS matching을 함으로써 clinical outcomes를 비교하였다. ICD-9 code로 진단명을 조회하였는데, 다기관 연구의 특성상 data collection에 대한 standard criteria가 없어 confounding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Reference
Fei Gao and Yun Zhang. Inotrope Use and Intensive Care Unit Mortality in Patients With Cardiogenic Shock: An Analysis of a Large Electronic Intensive Care Unit Database. Front. Cardiovasc. Med. 8:696138.
2024.02.13 - [의학] - 급성 심근경색에 의한 심인성 쇼크 중환자의 일반적인 집중 치료 - 1
2024.01.24 - [의학] -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주입한 진정제 종류에 따른 예후 비교
2024.03.10 - [의학] - 심장 수술을 받은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체중의 영향
2024.03.02 - [의학] -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의 치료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 위염 (1) | 2024.03.26 |
---|---|
첨형 콘딜로마 (1) | 2024.03.26 |
화상 환자의 열 조절 (0) | 2024.03.25 |
Cardiac Ultrasound Technique-4 (0) | 2024.03.25 |
Pyogenic liver abscess(화농성 간농양)의 치료 (0) | 2024.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