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weight is associated with better one-year survival in elderly patients after cardiac surgery: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MIMIC-III database
Background
Body mass index (BMI)가 심장 수술 후 환자의 예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으며, 이에 대한 dose-response에 대해서도 명확하지 않다. 또한 BMI와 예후의 관계에 나이, 동반질환, 심장 수술 종류가 어떤 관련이 있는지도 아직은 확실하지 않은 상황이다.
Methods
본 연구에서는 심장 수술을 받은 6,437명의 환자에 대해 Multiparameter Intelligent Monitoring in Intensive Care (MIMIC-III) database를 이용해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 analysis와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로 BMI가 수술 후 1년 이내 mortality와 원내 사망률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Continuous variable과 적절한 cut point를 알아보기 위해 restricted cubir regression splines를 시행하였다. 나이, 고혈압, 수술 여부를 기준으로 이에 대한 confounding influence를 확인하기 위해 subgroup analysis를 하였다.
Results
환자의 기본 정보는 BMI category에 따라 달랐다. Multivariable analysis에서 overweight(BMI 25–30 kg/m2) 환자군은 더 낮은 1년 이내 mortality를 보였다 [hazard ratio (HR) =0.660, 95% confidence interval (CI): 0.516–0.843, P=0.001]: vs. normal weight patients (BMI 18.5–25 kg/m2).
BMI <30 kg/m2인 환자군을 분석한 결과, BMI가 1 kg/m2 씩 증가할수록 1년 이내 mortality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HR =0.936, 95% CI: 0.899–0.975, P=0.002). 반면 BMI > 30 kg/m2 환자군에서는 그렇지 않았다(HR =1.032, 95% CI: 0.998–1.067, P=0.064). Subgroup analysis 결과 60세 이상, 고혈압,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CABG)만 받은 환자들에서 overweight가 심장 수술 후 생존에 있어서 protective effect가 있었다.
Conclusions
Overweight는 심장 수술 후 1년 생존율에 있어서 normal weight와 비교해서 더 나은 결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overweight의 protective effect는 60세 이상의 노인 환자에게 국한된다고 할 수 있다.
Text
Obesity paradox란 obesity가 높은 all-cause mortality완 연관된 반면, overweight는 낮은 all-cause mortality를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underweight 환자군은 보다 나이가 많고, frailty, cachexia, 심한 만성 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는 confounding bias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심장 수술 관련 연구에서는, obese 환자의 경우 수술전 검사에서 관련 위험도가 낮은 경우에 수술을 받게 되므로 selection bias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 결과에서 obesity paradox는 60세 이상의 나이, 고혈압, 그리고 CABG만 단독으로 받은 환자에게만 보였다는 것을 할 수 있다.
최근 한 메타 분석에서는 BMI와 심장 수술 후 all-cause mortality 간에 U-shaped relationship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Liu X et al. Association of body mass index and all-cause mortality in patients after cardiac surgery: A dose-response meta-analysis. Nutrition 2020;7
본 연구의 data extraction에서 variable은 중환자실 입실 후 24시간 이내의 검사 수치를 이용했는데, 만약 여러 차례 측정한 경우라면 가장 높은 수치와 가장 낮은 수치의 평균을 입력했다. 나이와 성별이 연구 결과에 미치는 confounding influence를 확인하기 위해 case-control matched analysis를 하였다. Overweight 혹은 obese 환자군을 normal/underweight 환자군과 나이(±2 years), 성별에 따라 1:1로 매칭하였다. 높은 BMI 환자에서 수술 후 예후가 좋은 경우를 보이는 기전은, adipose tissue에 의해 분비된 adipokine의 cardiovascular benefit(damaged myocardium의 재생, alfterload 감소, myocardium fibrosis 억제, angiogenesis 촉진)를 들 수 있다.
Sawicka M et al. Potential beneficial effect of some adipokine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dipose tissue content on the cardiovascular system. Int J Cardiol 2016;222:58
Reference
Yiran Zhang et al. Overweight is associated with better one-year survival in elderly patients after cardiac surgery: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MIMIC-III database.
2024.03.02 - [의학] -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의 치료
2024.02.13 - [의학] - 급성 심근경색에 의한 심인성 쇼크 중환자의 일반적인 집중 치료 - 1
2024.01.24 - [의학] -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주입한 진정제 종류에 따른 예후 비교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lymyxin B & Colistin (0) | 2024.03.11 |
---|---|
기계 환기를 받는 중환자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횡격막 위축의 평가 (0) | 2024.03.11 |
항문관(anal canal)의 해부학적 구조 (0) | 2024.03.10 |
초음파를 이용한 interior vena cava(하대정맥)의 평가_3 (0) | 2024.03.10 |
Rapid sequence intubation에서 신경근차단제의 사용 (0) | 2024.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