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항문관(anal canal)의 해부학적 구조

by Blueorbit 2024. 3. 10.

Anal canal

항문관은 소화관에서 비교적 작은 부위를 차지하는 분절이지만, 독특한 해부학적 구조와 복잡한 생리기능으로 배변자제(continence)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또한 여러 가지 질병에 대한 취약할 수 있다. 두 가지의 다른 항문관의 정의가 있다. '기능적' 또는 외과적 항문관은 길이가 약 4.0cm으로 anorectal ring에서 intersphincteric groove까지이다(내항문괄약근 위에 놓여 있음). '해부학적' 또는 발생학적 항문관은 길이가 더 짧으며(2cm) anal verge에서 dentate line(치상선)까지에 해당하고 proctodeal membrane고 일치하는 높이이다.

 

 

전방으로 항문관은 남성에서는 요도, 여성에서는 회음체(perineal body)와 질 후벽의 말단과 관련되어 있다. 후방으로는 미골(coccyx)과 관련되어 있다. Ischiorectal fossa의 항문관의 양측에 위치하며 지방과 inferior rectal vessels와 신경들을 포함하는데 이 혈관과 신경들은 fossa를 가로질러 항문관의 벽으로 들어간다.

 

Lining of the anal canal

항문관의 내막은 상부의 mucosal segment와 하부의 cutaneous segment로 구성되어 있다. Dentate line외배엽과 내배엽이 '톱니모양으로' 만난 접합부이며 따라서 두 가지 다른 기원의 정맥과 림프 배액, 신경 지배 및 상피세포 간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 dentate line 상부의 대장은 sympathetic nerve와 parasympathetic nerve의 지배를 받고 혈관과 림프는 hypogastric vessel관 연관되어 있다. 반면 dentate line 하부의 항문관에는 somatic nerve가 분포하고 혈관 분포는 inferior hemorrhoidal system과 관련이 있다.

 

 

Dentate line은 proctodeal membrane의 잔유 조직인 anal valve들의 선과 일치한다. 각각의 anal valve 상부에는 anal sinus 또는 anal crypt라고 알려진 작은 포켓이 있다. 다양한 수의(4~12) anal gland가 anal crypt에 연결되어 있는데 후방 사분면에 더 집중되어 있다. 동일한 crypt에 1개 이상의 galnd가 개구하는 경우도 있으며 crypt의 1/2 가량은 연결된 gland가 없다. Anal gland duct는 외하방으로 주행하여 submucosa로 들어간다. 이들의 2/3는 내항문괄약근으로 들어가며 이들의 반은 내항문 괄약근을 관통하여 intersphincteric plane에서 끝난다. Crypt 내에 이물질이 쌓여서 이 duct들이 막히면 항문 주위 농양과 치루를 일으킬 수 있다.

 

Dentate line 상부에는 rectal column(column of Morgani)이라고 하는 8~14개의 세로의 주름들이 있는데 이들의 저부는 dentate line 위에 쌍으로 각각의 anal valve에 연결되어 있다. Rectal column의 하단에는 anal papillae가 있다. Column 부위의 점막은 여러 층의 cuboidal cell로 이루어져 있고 아래에 있는 internal hemorrhoidal plexus 때문에 짙은 자주색을 띤다. Dentate line 상부의 이 0.5~1.0cm의 점막 부위를 anal transition or cloacogenic zone이라고 하며 항문암 중의 일부가 여기서 발생한다. 이보다 더 상부에서는 점막의 상피는 한 층의 cuboidal columnar cells로 변하며 육안적으로 직장 점막의 특징적인 분홍색을 띤다.

Reference

항문직장 외과학. David E. Beck, Steven D. Wexner 저. 김용수 역. E.Public

 

2024.02.16 - [의학] - 외과적 항문관, 항문의 혈관

 

외과적 항문관, 항문의 혈관

외과적 항문관 항문관(anal canal)은 길이가 약 3~4cm이며, 항문 괄약근으로 둘러싸여 있는 부분으로 소화관의 끝부분이다. 항문관은 직장과 항문 외구를 잇는 관상구조이고 상연(윗경계)은 치골 직

blueorbit.tistory.com

 

2024.03.04 - [의학] - Caudal Anesthesia(미골 마취)

 

Caudal Anesthesia(미골 마취)

환자가 마취된 상태에서 기도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lateral decubitus(측면 와위)에서 caudal anesthesia(미골 마취)를 해야 하는 소아와는 달리, 성인에서는 prone position(엎드린 자세)가 기본자세이

blueorbi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