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초음파9

초음파를 이용한 interior vena cava(하대정맥)의 평가_3 Image Interpretation IVC size와 collapsibility의 interpretation은 임상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IVC ultrasound를 적용하는 가장 흔한 임상 상황은 다음과 같다: 1. Volume responsiveness 2. Tamponade physiology 3. CVP estimation 4. Device placement 1. VOLUME RESPONSIVENESS Volume repsonsiveness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호흡을 고려하는 게 중요하다. Spontanoeus ventilation: Invasive 혹은 noninvasive ventilator 유무와 관련된 자발 호흡 여부 Passive ventilation: 자발 호흡 없이 m.. 2024. 3. 10.
초음파를 이용한 interior vena cava(하대정맥)의 평가_1 Background Interior vena cava(IVC, 하대정맥)에 대한 point-of-care(POC) examination은 빠르고 비침습적으로 right atrial pressure(우심방압) 검사를 가능하게 하며, volume status와 volume responsiveness를 판단하는데 유용하다. Image acquisition은 비교적 쉽지만, IVC finding에 대한 interpretation은 미묘한 차이가 있으므로 validated uses, limitations, 다른 clinical data와의 integration에 대해 충분히 알아야 한다. Anatomy IVC는 aorta(대동맥)의 우측에 위치하며 retroperitoneal space(후복막 공간)에서 live.. 2024. 3. 8.
초음파를 이용한 쇄골하 정맥의 중심정맥관 삽입술 Ultrasound-Guided Subclavian Vein Catheteriz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bjective Ultrasound-guided subcavian vein catheterization(초음파 유도하 쇄골하 정맥 카테터 삽입술)에 대해 많은 보고들이 있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아직 없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lind" landmark method와 비교해서 ultrasound-guided subclavian catheterization을 시행하였을 때 실패하는 경우와 부작용에 대해서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를 시행하였습니다. 시행한 초음파 검사는 .. 2024. 2. 11.
초음파 유도하 쇄골하 정맥 중심정맥관 삽입술 시 고려할 사항 해부학적 위치 Subclavian vein(쇄골하 정맥)은 axillary vein(액와 정맥)의 근위부이며, 첫 번째 늑골의 lateral edge에서 medial 방향으로 brachiocephalic (innominate) vein(완두 정맥)으로 이어진다. 초음파는 뼈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infraclavicular approach 시 axillary vein(distal subclavian vein)은 lateral clavicle의 화면상 아래쪽에서 보이게 된다. Axillary vein은 첫 번째 늑골에서 teres major muscle로 주행하며 brachial vein(상완 정맥)이 되는데, axillary vein과 axillary artery의 상대적인 위치는 정상적인 변이가 매우 흔.. 2024. 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