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thromboembolism7

입원 당시 hyperfibrinolysis를 보이는 중증 외상 환자에서 tranexamic acid의 효과 Severely Injured Trauma Patients with Admission Hyperfibrinolysis; Is There a Role of Tranexamic Acid?: Finding frome the PROPPR Trial IndroductionCRASH-2 trail 이후로 coagulopathy-of-trauma(TOC) 환자에서 tranexamic acid(TXA, 트라넥삼산)를 투여하는 케이스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심한 외상 환자가 입원 당시 hyperfibrinolysis(섬유소 과다 용해)를 보일 때 tranexamic acid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Methods전향적으로 수집한 Pragmatic, Randomized Optimal Platelet and Pl.. 2024. 3. 28.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중환자 치료 Hemodynamic Management in the ICU 인간을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는 부족하지만,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의 최신 가이드라인에서 추천하는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치료는 다음과 같다: 1.volume expansion 시 주의할 것. 2. 혈압이 저하되어 필요한 경우 우심실 기능을 호전시키기 위해 norepinephrine을 주입할 것. 3. 기계 호흡 중인 환자에서는 낮은 tidal volume과 낮은 plateaue pressure를 유지할 것 전통적으로 dobutamine이 확실한 evidence가 없었음에도, 저혈압/쇼크에서 주요 약물로 선택되었다. Jardin 등이 보고한 바에 따르면 자발 호흡을 하는 10명의 환자를 대상으.. 2024. 3. 3.
수술을 앞둔 환자에서 apixaban의 중단 여부 Apixaban(eliquis, 아픽사반, 엘리퀴스): Direct factor Xa inhibitor로서, prothrombin을 thrombin으로 변환시키는데 작용하는 factor Xa의 효소적 기능을 가역적으로 억제한다. 1. Discontinuation Apixaban은 low/moderate bleeding risk procedure 시술 전 1일과 high bleeding risk procedure 시술 전 2일 동안 중단할 수 있다. 따라서 low/intermediate bleeding risk procedure의 경우 환자는 시술 하루 전에 apixaban의 2회 용량을 중단해야 한다. High bleeidng risk 환자는 시술 2일 전 apixaban 4회 용량을 중단한다. 이러한 .. 2024. 2. 27.
벤조디아제핀은 외상 환자에서 감염과 혈전 합병증을 유발 수 있다 Benzodiazepines Increase the Likelihood of Both Infectious and Thrombic Complications Introduction Benzodiazepine(BZD, 벤조디아제핀)은 macrophage의 peripheral γ-amino-butyric acid type A에 영향을 줌으로써 면역 반응을 조절한다. Macrophage는 감염을 증가시키는 proinflammatory cytokines의 작용을 억제한다. 이전 여러 연구들에서 감염은 혈전 합병증(thrombotic complications) 발생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관관계가 외상 환자에서도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 환자가 입원 당시에 나간 urin.. 2024. 2.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