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영양8

영양과 재활의 시너지 효과 단기간의 부동상태도 골격근 소모에 현저한 효과를 미칠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의인성 영양실조에 의해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다. 건강한 개인들도 부동기간이 14일을 넘으면 아미노산 이용의 상승 영부에 관계없이 myofibrillar protein synthesis가 감소하는데, 이는 근육 합성대사가 억제됨을 의미한다. 첫 2-3주 동안 하루 1.5~2%의 근육이 결과적으로 손실되어 근육량 항상성 이상을 가져올 뿐 아니라, 근육이 단백질 합성을 위해 순환 아미노산을 활용하는 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이를 동화저항이라 한다. 그러나 침상생활이 길어지는 동안 필수 아미노산을 공급하여 단백질합성을 촉진시키는 생리적 동화작용 타깃 방법이 개별 요소들을 타깃 하는 방법보다 근육 손실을 예방하거나 제한하는 이득이 있다는.. 2024. 3. 30.
중환자에서 glutamine의 공급 Should we use additional enteral/ parenteral glutamine (GLN) in the ICU? Recommendation Body surface area의 20% 이상 화상 손상을 입은 환자에서 enteral nutrition(EN, 경장 영양)을 시작하고 바로 추가로 glutamine(0.3 ~ 0.5 g/kg/day)을 enteral dose로 10 ~ 15일 동안 공급하는 것을 권고한다. Grade of recommendation: B - strong consensus (95% agreement) 외상 중환자의 경우 EN을 시작한 첫날부터 glutamine을 EN dose로 0.2 ~ 0.3 g/kg/day 추가할 것을 권고한다. Complicated wound .. 2024. 3. 8.
중환자에게 필요한 단백질 공급량 Clinical question: In adult critically ill patients, does high protein intake compared to low protein intake improve outcome (reduce mortality, reduce infections)? Recommendation: During critical illness, 1.3g/kg protein equivalents per day can be delivered progressively. Grade of recommendation: 0 e strong consensus (91% agreement) Muscle은 신체에서 가장 큰 protein pool로서, critical illness는 심각한 proteol.. 2024. 3. 4.
COVID 19 중환자에게 영양 지원을 하는 10가지 tip Nutrition support for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COVID-19 disease Nutrition을 중환자 치료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포함해야 하는 이유는? - Critical illness는 다음의 phase를 따라 진행한다: early acute -> late acute -> postacute - Acute phase 동안 hypercatabolism이 우세하고 이는 energy deficits를 초래한다. - 먼저 근육에서 amino acids가 빠져나오게 됨으로써 negative nitrogen balance와 sarcopenia가 발생한다. - Critical illness로 인해 발생한 gut dysfunction과 dybiosys는 inflammator.. 2024. 3.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