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부위 감염의 정의
1988년 미국 질병관리예방센터에서 한 정의에 따르면 수술부위 감염은 피부절개부위에 국한된 감염을 지칭하였으나 1992년 National Nosocomial Infection Surveillance(NNIS)에서 정의한 것으로 개정되어 수술 조작을 직접 가한 부위에 발생하는 술 후 감염증과 함께 봉합부전 또는 합병증에 의한 복강 내 감염도 포함하며 술 후 30일 이내에 발생한 경우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절개부위 감염과 장기/체강 감염으로 나누어지며 절개부위 감염은 피부와 피하조직에 국한되는 표재성 수술부위 감염과 근막과 근육층까지 침범하는 심부수술부위 감염으로 나누어진다. 수술부위 감염의 60~80%는 절개부위 감염이며 예후도 장기, 체강 감염보다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술부위 감염(Surgical Site Infection, SSI)은 수술환자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병원감염으로 모든 수술환자 중 병원감염의 38% 정도를 차지하며, 전체병원감염의 3번째 빈도를 차지하는 중요한 감염이다. 국소적인 것부터 전신적 감염까지 일으켜 이환율 및 사망률을 증가시키며 입원기간을 연장시키고 의료비 증가를 초래한다. 특히 수술부위 감염은 적극적인 감염관리활동을 통해 약 35%까지 예방할 수 있어 감염관리의 우선대상이 된다.
수술부위 감염의 위험인자
수술부위 감염을 발생시키는 위험인자로 크게 세균에 의한 것, 국소적인 요소 그리고 환자자신의 상태에 의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수술의 합병증으로 SSI의 발생에 이들 세 요소가 상호작용으로 기여하며 이러한 인자들 대부분이 SSI와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각각의 위험인자와 SSI 사이에 독립적으로 관계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세균인자는 그 독성과 수술부위에 존재하는 세균의 수와 관계가 있으며 세균이 생산하는 독소의 탐식과 세포 내 파괴에 저항하는 세균 자체의 능력에 영향을 받는다. 국소적인 인자로는 수술의 침습도, 외과의의 경험, 그리고 기술과 관계가 있다. 수술은 피부나 위장관 점막과 같은 기초적인 장벽 보호 수단(barrier defense mechanism)을 깨뜨리므로 분명히 SSI의 발생과 연관이 있다. 훌륭한 외과적 기술연마는 SSI를 피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환자와 관련된 인자들은 연령, 면역억제제 사용여부, steroids, 악성종양, 비만, 술전수혈, 흡연, 당뇨, 기저질환 그리고 영양결핍 등이다. 환자와 관련된 인자들은 SSI의 발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기 인자들을 잘 조작함으로써 SSI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창상은 수술 당시의 오염의 정도에 따라 청결(clean), 청결-오염(clean-contaminated), 오염(contaminated) 그리고 불결(dirty)로 나눌 수 있다.
수술부위 감염의 분류
청결 창상(class I)은 감염이 없고 단지 피부의 미생물이 상처를 오염시킬 가능성이 있으나 미생물을 함유한 강동장기를 열지 않았을 때의 상태이며, 청결-오염 창상(class II)은 호흡기, 소화기, 비뇨생식기관과 같은 장관에서 내용물이 흘러나오지 않게 조심해서 열었을 때이다. 오염 창상(class III)은 손상 후 상처가 열린 상태로 다량의 세균들이 체내의 균이 없는 곳으로 흘러들어 가거나, 장 내용물이 다량으로 누출되었을 때 또는 염증이 있는 조직을 절개했을 때의 상태를 뜻한다. 불결 창상(class IV)은 치료가 지연된 외상에서 괴사조직이 있고 농양이 있는 감염 또는 장이 천공되어 고도의 감염이 있을 때를 의미한다.
수술부위 감염의 처치
SSI 치료는 절개해서 적절히 배농 시키는 것이다. 배농의 필요성에 대한 적절한 검증 없이 단순히 봉와직염이라고 판단해서 맹목적으로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환자 대부분에서 상처를 개방하고 적절하게 배농 시키면 항생제 사용은 필요하지 않다. 감염의 현저한 전신증상(체온 38.5'C 이상, 심박동 수 100/min 이상)이 잇거나 발적이 절개부위에서 5cm 이상 퍼져 있을 때는 항생제 사용을 추천한다. 항생제의 선택은 시행한 수술에서 감염되기 쉬운 병원균을 기초로 해서 결정한다. 연부조직 감염에서와 같이 경험적 항생제 치료를 선택할 때는 MRSA에 의한 감염의 가능성을 항상 생각해야 한다. 비록 대부분의 SSI에서 일반적으로 균 배양 검사를 필요로 하지는 않으나 저항성 균주들을 적절히 치료하기 위해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은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피부나 연부조직에 심한 감염이 있거나 심부 SSI가 있으면서 조직괴사를 동반한 환자는 대부분 항생제로 치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Streptococci나 Clostridium 균주에 의해 조기에 감염이 일어나는 환자들에게는 penicillin을 clindamycin과 병합하거나 또는 단독으로 치료하고 적극적인 외과적 괴사조직 절제를 시행한다.
Reference
외과학. 대한외과학회. 군자출판사
2024.03.19 - [의학] - 항생제 감수성 검사 방법
2024.02.27 - [의학] - Quinolone의 작용 기전
2023.11.04 - [의학] - 화상 환자의 상처 소독 방법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쇼크 환자에서 요골 동맥과 대퇴 동맥에서 측정한 평균 동맥압에 차이가 있을까? (1) | 2024.03.23 |
---|---|
항문 출혈 (1) | 2024.03.23 |
패혈증 환자 치료에서 과도한 수액 투여는 불량한 예후와 관련이 있다 (0) | 2024.03.22 |
기계 환기 발관(ventilator liberation)을 위한 열 가지 팁 (0) | 2024.03.22 |
중환자실에서 사용하는 약물 희석액의 비교 (0) | 2024.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