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주요 재무비율

by Blueorbit 2024. 3. 16.

수익성 분석 지표

총자본수익(ROA, Return on Asset)

총자본수익률 = 당기순이익 / (전기총자산+당기총자산) / 2

연결은 연결당기순이익 기준.
자산은 당기 기준으로도 분석함.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총자산 운용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
 

자기자본순이익률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순이익률 = 당기순이익 / (전기총자본 + 당기총자본) / 2

연결은 지배주주순이익 기준.
자본은 당기 기준으로도 분석함.
주주자본 입장에서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ROA에서 자본구조 효과 제거
 

투하자본수익률 (ROIC, Return on Invested Capital)

투하자본 수익률 = 세후영업이익 / (전기투하자본 + 당기투하자본) / 2

투하자본은 영업활동에 사용되는 자산.
투하자본은 당기 기준으로도 분석함.
 

매출액순이익률 (ROS, Return on Sales)

당기순이익 = 당기매출액

매출액 순이익률은 정상적인 영업활동으로 창출된 이익뿐 아니라 법인세를 포함한 기업의 순자산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모든 활동을 반영한 이익 효과.

 

매출액영업이익률(Operating Profit Ratio)

매출액영업이익률 = 당기영업이익 / 당기매출액

영업활동의 효율성을 나타냄.

 

EBITDA margin

EBITDA margin = EBITDA / 매출액

EBITDA 이외에 EBITA 분석이 이루어지기도 함.

(단기적) 영업현금흐름 창출 능력 지표

 

 

성장성 분석지 지표

매출액증가율 (Revenue Growth)

매출액증가율 = (당기매출액 / 전기매출액) - 1

대표적인 성장성 지표

시장 규모의 증감 또는 시장 점유율과 관련이 있음.

 

영업이익증가율

영업이익증가율 = (당기영업이익 / 전기영업이익) -1

영업활동으로 인한 이익의 성장 지표.

 

EBITDA 증가율

EBITDA 증가율 = (당기 EBITDA / 전기 EBITDA) - 1

영업현금흐름 창출 관점에서의 지표

 

https://www.collidu.com/presentation-financial-ratios

 

안정성 분석 지표

유동비율 (Current Ratio)

유동비율 = 유동부채 / 유동자산

단기지급능력을 나타냄.

 

부채비율 (Debt to Equity Ratio)

부채비율 = 부채총계 / 자본총계

재무적 안정성을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지표

 

유보율 (Reserve Ratio)

유보율 = 유보액 / 자본금

유보액 = 지배주주순자산(자기주식 차감전)- 자본금

 

순차입금비율 (Net Debt Ratio)

순차입금비율 = 순차입부채 / 자본총계

재무적 안정성 측정 지표

 

이자보상배율 (Interest Coverage Ratio)

이자보상배율 = 영업이익 / 이자비용

이자비용의 지급에 필요한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이자부담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재무적 건전성 측정 지표

 

자기자본비율 (Capital Adequacy Ratio)

자기자본비율 = 자본총계 / 자산총계

재무적 안정성 측정 지표

 

 

활동성 분석 지표

총자산회전율 (Total Asset Turnover)

총자산회전율 = 매출액 / (전기총자산 + 당기총자산) / 2

당기총자산 기준으로 산정하기도 함.

총자산의 운용 효율을 측정하는 지표.

 

순운전자본회전율 (Net Worcking Captial Turnover)

순운전자본회전율 = 매출액 / (전기순운전자본 + 당기순운전자본) / 2

당기순운전자본 기준으로 산정하기도 함.

운전자본의 효율적 관리 수준 측정 지표.

 

매출채권회전율 (Receivable Turnover)

매출채권회전율 = 매출액 / (전기매출채권 + 당기매출채권) / 2

당기매출채권 기준으로 산정하기도 함.

 

재고자산회전율 (Inventory Turnover)

재고자산회전율 = 매출원가 / (전기재고자산 + 당기재고자산) / 2

매출액 기준, 당기재고자산 기준으로 산정하기도 하며, 변동요인 파악 후 분석할 필요가 있음.

 

회수(지급) 기간 (Payback Period)

회수(지급) 기간 = 365 / 매출채권회전율

분자에 매입채무, 재고자산 등으로 분석하면 해당 자산 및 부채의 회전기간이 됨.

 

운전자본회전주기

운전자본회전주기 = 매출채권회수기간 + 재고자산회전기간 - 매입채무지급기간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은 현금화 주기, 매입채무는 지급 주기를 나타냄.

 

Reference

가치투자를 위한 나의 첫 주식가치평가. 이중욱 저. 삼일인포마인

 

2024.03.13 - [투자] - 장부가(Book Value)를 이용한 가치평가의 장단점

 

장부가(Book Value)를 이용한 가치평가의 장단점

우리는 용도가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계산하기 쉬운 주당 장부가를 정기적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시가로 장부에 계상된 유가증권은 우리의 장부가를 왜곡시키지 않습니다. 그러나 자회사의

blueorbit.tistory.com

 

2024.03.14 - [투자] - 시장가치접근법(Market Approach)의 적용

 

시장가치접근법(Market Approach)의 적용

이익가치접근법이나 자산가치접근법이 회사의 이익활동 또는 보유자산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평가를 하는 내재가치에 기초한 평가방법이라면, 시장가치접근법은 시장의 상황에 따라 상대적

blueorbit.tistory.com

 

2024.03.12 - [투자] - 가치투자에 관한 명언들 3

 

가치투자에 관한 명언들 3

성공적인 가치투자를 위한 핵심 지표 기업별로 적용하는 항목은 매우 다르지만 5~10년 후 기업의 모습을 합리적으로 예측하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이 회사의 경영진과 정말로 동업하고 싶은가'

blueorbi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