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llenges in Sedation Management in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COVID-19:
A Brief Review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는 lower respiratory tract에 발현된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receptor에 결합함으로써 angiotensin II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이는 pulmonary vascular permeability와 cytokine들의 induction을 증가시킨다. ARDS 환자에서 적절한 sedation은 patient-ventilator dys-synchrony, accidental extutation, circuit disconnection을 방지하고, refractory hypoxic respiratory failure가 발생한 환자에서 prone ventilation과 paralysis가 가능하게 한다.
COVID-19에 감염된 중환자들은 sedation과 analgesia의 더 높은 용량이 요구된다는 연구가 있다.
Kapp CM et al. The use of analgesia and sedation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with COVID-19 ARDS. Anesth Analg. 2020.
Pain과 anxiety는 pre-existing sympathetic stress response를 증가시키고, endogenous catecholamine acitivity 증가, oxygen consumption 증가, tachycardia, hypercoagulability, hypermetabolism, immunosuppression을 초래한다.
Devlin JW et al. Executive summary: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ain, agitation/sedation, delirium, immobility, and sleep disruption in adult patients in the ICU. Crit Care Med. 2018;46(9):1532–48.
2022.07.01 - [의학] - 섬망의 예방과 치료
적절한 pain control과 sedation은 ventilator dys-synchrony를 방지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Ventilator dys-synchrony는 peak airway pressure가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ventilator-induced lung injury (VILI)를 유발함으로써 환자의 예후에 악영향을 미친다.
Matthay MA et al. Treatment for sever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from COVID-19. Lancet Respir Med. 2020;8:433–4.
젊은 환자가 COVID-19 환자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데, 이 환자들은 comorbidity가 더 적고, respiratory drive가 더 높으며, 이전에 사용하던 진정제에 대한 내구성 증가와 관련하여 강한 염증 반응을 보인다. Mechanical ventilation 기간이 7일에서 12일로 더 길며 이는 sedation 기간 역시 더 길다는 것을 의미한다.
Martyn JAJ et al. Opioid tolerance in critical illness. N Engl J Med. 2019;380(4):365–78.
Bhatraju PK et al. Covid-19 in critically ill patients in the Seattle Region - case series. N Engl J Med. 2020;382:2012–22.
여러 가이드라인에 의하면, pain control은 중환자 치료에서 가장 우선 순위에 위치하며, opioid와 같은 analgosedation (eg, analgesia-first 혹은 analgesia-based)의 투여가 주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Devlin JW et al. Executive summary: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ain, agitation/sedation, delirium, immobility, and sleep disruption in adult patients in the ICU. Crit Care Med. 2018;46(9):1532–48.
Opioid-induced chest wall rigidity는 thoracic and abdominal muscle tone을 증가시키며, 이는 기관 삽관된 환자에서 airway pressure 증가 및 oxygen desaturation으로 나타날 수 있다.
HamSY et al. Recurrent desaturation events due to opioid-induced chest wall rigidity after low dose fentanyl administration. Korean J Crit Care Med. 2016;31(2):118–22.
Propofol 투여로 인해 systemic vascular resistance와 myocardial contractility의 dose-dependent decrease가 발생하는데, 이는 COVID-19 환자가 septic shock을 보이는 상황에서 blood pressure 저하가 더 악화된다.
Marik PE. Propofol: therapeutic indications and side-effects. Curr Pharm Des. 2004;10(29):3639–49.
COVID-19 환자는 myocardial injury, viral myocarditis, stress cardiaomyopathy가 더 호발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propofol에 의한 myocardial contractility 감소가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Clerkin KJ et al.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and cardiovascular disease. Circulation. 2020.
Ventilatory dyssynchrony를 보이거나 prone position이 필요한 COVID-19 환자에서 dexmedetomidine 단독 치료로는 필요한 sedation level에 도달하기 힘들다. 게다가 장기간의 주입으로 tolerance가 발생할 수 있다.
Anand VG. Sedation in intensive care unit: is dexmedetomidine the best choice? Int J Crit Illn Inj Sci. 2012;2(1):3–5.
Gagnon 등은 성인 중환자에서 dexmedetomidine을 clonidine (또다른 alpha-2 adrenerginc agonist)으로 변경함으로써 fentanyl 투여 용량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Gagnon DJ et al. Transition from dexmedetomidine to enteral clonidine for ICU sedation: an observational pilot study. Pharmacotherapy. 2015;35(3): 251–9.
Ketamine의 주요 부작용인 psychotomimetic effects는 dose-dependent하며, low dose의 benzodiazepine을 병용함으로써 줄일 수 있다.
Green SM et al. Ketamine in adults: what emergency physicians need to know about patient selection and emergence reactions. Acad Emerg Med. 2000;7(3):278–81.
Reference
Challenges in Sedation Management in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COVID-19: a Brief Review. Kunal Karamchandani et al. Current Anesthesiology Reports (2021) 11:107–115
2024.02.10 - [의학] - Demedetomidine(precedex, medex) 용법과 부작용
2023.11.08 - [의학] - Mechanical ventilation(기계 호흡) 중인 환자에서 ketamine(케타민)의 효과
2024.01.24 - [의학] -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주입한 진정제 종류에 따른 예후 비교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부 둔상 환자에서 항응고 치료는 언제 시작해야 할까? (0) | 2021.11.04 |
---|---|
중환자에서 CRRT를 언제 중단할 수 있을까 (0) | 2021.11.04 |
중환자에서 parenteral nutrition(정맥영양)을 언제 시작해야 할까? (0) | 2021.11.01 |
Procalcitonin을 어떻게 이용해야 할까? (0) | 2021.10.04 |
TPN (total parenteral nutrition) prescription (0) | 2021.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