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lririum(섬망), agitation(진전) 등에서 사용하는 dexmedetomidine(precedex, medex, 프리세덱스, 메덱스)의 용법과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Dosage regimen
일반적으로 initial loading dose는 하지 않지만 필요한 경우 시행할 수 있다. Initial loading dose 투여 시 central alpha 2a receptor의 activation으로 인한 vasodilation으로 인한 transient hypotension이나, peripheral alpha 2b receptor activation으로 인한 transient hypertension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Maintenance dose는 0.2 ~ 1.5 mcg/kg/hour으로, 30분 이상의 간격을 두고 증량한다. 1.5 mcg/kg/hour을 초과하는 용량은 clinical efficacy에 특별히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Venn M, Newman J, Grounds M. A phase II study to evaluate the efficacy of dexmedetomidine for sedation in the medical intensive care unit. Intensive Care Med 2003; 29:201.
이 약제에 대해 환자마다 다른 반응을 보이는 것은 아직 확인되지 않은 환자마다의 특성이나 pharmacokinetics, genetic polymorphism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Holliday SF, Kane-Gill SL, Empey PE, et al. Interpatient variability in dexmedetomidine response: a survey of the literature. ScientificWorldJournal 2014; 2014:805013.
고령 환자, 신부전 환자, 간부전 환자에 대한 특별한 용량 조절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아직 없으며, 저용량으로 시작한 후 환자의 반응을 보면서 천천히 조절을 해야 한다.
Adverse effects
Sedation 목적으로 dexmedetomidine을 사용하는 경우 발생 가능한 부작용으로는 hypotension(저혈압), hypertension(고혈압), nausea(오심), bradycardia(서맥), atrial fibrillation(심방세동)을 들 수 있다. Bradycardia와 hypotension은 loading dose나 maintenance 중에 발생 가능한데, hypertension 또한 특히 loading 시 보일 수 있으며, hypotension은 대부분 빠르게 증량(dose escalation)하는 경우 나타날 수 있다. 이런 경우 약물을 급하게 중단해도 빠르게 회복되지 않을 수 있다.
Refractory cardiogenic shock이 발생했다는 보고도 있다. 이 약제를 갑작스럽게 중단하는 것은 피해야 하는데, 장기간 사용한 경우 금단 현상(withdrawal)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dexmedetomidine을 중단하는 경우, withdrawal에 대해 mornitoring이 필요하다. Hypotension(저혈압)이나 bradycardia(서맥)이 발생 가능한 것은 dexmedetomidine의 sympatholytic effects 때문인데, 특히 병용하는 약제(eg, propofol, inhalation agents)로 인해 유발될 수 있다.
Propofol과 유사하게, dexmedetomidine도 dose-dependent respiratory depression이 발생 가능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Neuromuscular blockade(신경근 차단)이 필요한 경우 dexmedetomidine으로는 deep sedation이 가능하지 않다.
Drug interactions
Dexmedetomidine의 대사는 간에서 glucuronidation과 cytrochrome P450으로 이루어지지만, 임상적으로 중요한 cytochrome P450-mediated drug interaction은 아직 확인된 바 없다. Systemic blood pressure를 낮추는 약제(eg, propofol)들이 dexmedetomidine의 hypotensive effect를 강화시킬 수 있는 반면, systemic blood pressure를 높이는 약제는 dexmedetomidine의 hypertensive effect를 강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Reference
Uptodate.Mar 18, 2021.
Sedative-analgesic medications in critically ill adults: Properties, dosage regimens, and adverse effects
2023.11.08 - [의학] - Mechanical ventilation(기계 호흡) 중인 환자에서 ketamine(케타민)의 효과
2024.01.23 - [의학] - Propofol과 fentanyl의 병합 요법이 중환자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2022.07.01 - [의학] - 섬망의 예방과 치료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상 환자에서 rapid sequence intubation(신속 기관내 삽관) 시 진정제 선택 (2) | 2024.02.11 |
---|---|
초음파를 이용한 쇄골하 정맥의 중심정맥관 삽입술 (0) | 2024.02.11 |
중환자 수액 치료와 항생제 치료의 비슷한 점 (1) | 2024.02.09 |
초음파 유도하 쇄골하 정맥 중심정맥관 삽입술 시 고려할 사항 (0) | 2024.02.08 |
Theophyllin 투여가 기계 환기 유발 횡격막 기능부전에 미치는 영향 (1) | 2024.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