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tamine Sedation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Purpose
Ketamine(케타민)은 mechanical ventilation 중인 환자에서 sedation 목적으로 점차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mechanical ventilator로 치료 중인 환자에서의 ketamine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Materials and methods
EMBASE, MEDLINE, Scopus,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ClinicalTrials. gov, conference proceedings, reference lists를 조사하였으며, randomized study와 nonrandomized study를 모두 포함하였다.
Results
15 건의 study(n=892명)을 포함하였으며, random effects meta-analytic models 결과 ketamine 투여는 propofol infusion rate를 감량과 관련이 있었지만(mean difference in dose,−699 μg/min; 95% CI−1169 to−230, p=0.003), fentanyl이나 midazolam에는 이러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Mortality, on-target sedation, vasopressor dependence, hospital length of stay와도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Cardiovascular complication(eg, tachycardia, hypertension)이 ketamine 투여 시 가장 흔하게 보고되었으며, 이어서 agitation이나 delirium과 같은 neurocognitive envents가 보고되었다.
Conclusions
Mechanical ventilation을 받는 환자에게서 ketamine 투여에 대한 연구는 그 qauatity나 methodological quality, clinical benefit에 대해 제한적이다. Sedative-sparing agent로서 ketamine이 어느 정도 역할을 할 수는 있겠지만, 약제 부작용도 고려해야 한다. Sedation pathway 초기에 ketamine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high-quality study들이 좀 더 필요할 것이다.
Context
Ketamine은 N-methyl-D-aspartate receptor antagonism, μ와 κ opioid receptor agonism을 통해서 anesthetic, sedative, dissociative 등 다양한 효과를 보인다. Ketamine은 또한 anti-inflammatory와 neuroprotective property를 갖고 있으며, bronchodilatory effects, favorable hemodynamic profile을 갖고 있어 respiratory failure 환자에게서 임상적인 이점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여러 연구에서 ketamine은 opioids와 benzodiapine 투여량을 줄여줌으로써 이 약제들의 부작용 발생 빈도와 강도를 낮춰주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Guillou N et al. The effects of small-dose ketamine on morphine consumption in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after major abdominal surgery. Anesth Analg 2003;97(3):843–7.
Ketamine 투여에 따른 부작용은 hallucination과 nigthmare 등의 neuropsychiatric complication이 대표적입니다. 본 연구에 포함된 3건의 RCT에서 ketamine 용량은 매우 다양하였다.
1) a static dose of 0.20 mg/kg/h
2) titaration between 0.2 and 0.7mg/kg/h to achieve target sedation
3) a mean 4.92 mg/kg/h
이 주제와 관련된 연구가 많지 않아서, observational study, RCT, unpublished data들이 모두 포함되어 bias risk가 높다. 본 연구 포함된 대부분의 연구에서 sedation score와 같은 patient-oriented outcome 등을 평가하지 않았다. 그리고 ketamine을 다른 analgesics, sedatives와 병용해서 사용하였으므로, inital sedative로서 ketamine의 효과 여부는 평가할 수 없었다. Statistical heterogeneity와 clinical heterogeneity가 높다는 점도 제한점으로 생각된다.
Reference
A. Travis Manasco et al. Ketamine sedation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Critical Care 56 (2020) 80–88.
2021.10.28 - [의학] - COVID-19 중환자에게 진정제 투여 시 고려할 사항
2024.02.11 - [의학] - 외상 환자에서 rapid sequence intubation(신속 기관내 삽관) 시 진정제 선택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Hydrocolloid 드레싱 제품의 특징 (0) | 2023.11.09 |
---|---|
Phosphate(인) 결핍의 임상 양상 (1) | 2023.11.09 |
병원내 폐렴(nosocomial pneumonia, hospital-acquired pneumonia)의 치료 - 1 (0) | 2023.11.08 |
화상, 창상 환자에서 사용하는 합성 창상피복재 (0) | 2023.11.07 |
연속 주입 중이던 약물을 중단 했을 때 효과가 얼마나 지속될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0) | 2023.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