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의학198

중환자실 섬망을 예방하기 위한 야간 dexmedetomidine(precedex) 투여 용법과 결과 Low-Dose Nocturnal Dexmedetomidine Prevents ICU Delirium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Raionale Dexmedetomidine(precedex)는 benzodiazepine과 비교했을 때 delirium(섬망)을 덜 유발하고, benzodiazepine이나 propofol과 비교했을 때 sleep architecture(수면 구조)를 잘 보존한다; 하지만 sedation(진정)이 필요한 환자에서 밤 동안 dexmedetomidine을 투여했을 때 섬망과 수면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밝혀진 바 없다. Objectives 성인 중환자에게 밤 동안 dexmedetomidine을 투여하는 경우 섬망.. 2024. 4. 13.
중환자에서 신경학적 변화가 나타난 경우 시행하는 검사 Neurologic complications of procedures and treatments 중환자실에서 시행하는 일반적인 시술이나 critical illness에 대한 평가 및 치료와 관련된 시술로 인해 neurologic complication(신경학적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가장 명백한 neurologic complication은 stroke(뇌졸중) 등의 치료로 thrombolytic agents(혈전용해제)나 anticoagulants(항응고제) 투여 후 발생한 secondary intracranical bleeding(이차성 두개내 출혈)을 들 수 있다. Evaluation of sudden neurologic change 중환자에서 neurologic condition 변화가 갑자기.. 2024. 4. 9.
항생제 감수성 결과에 따라 항생제를 선택할 때 고려할 사항 미생물 검사에서 병원체가 분리되면 이것이 어떤 항생제에 잘 듣는지 확인하기 위해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한다. 분리된 미생물이 상재균이나 오염균인 경우에는 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서 감수성인 항생제를 선택하더라도 치료에 실패할 것이다. 따라서 항생제를 선택하기에 앞서 분리된 미생물이 감염증을 일으킨 원인균인지 아니면 상재균이나 오염균인지를 해석해야 한다. 예를 들면, 임상적으로 폐렴을 의심할만한 주관적 증상(새로운 기침이나 가래)이나 객관적 소견(새로운 폐침윤, 청진에서 crackles)이 없는 환자의 가래에서 분리된 미생물은 구강 상재균일 가능성이 높다. 요검사에서 백혈구나 세균이 보이지 않는데, 대장균이 분리되었다면, 이것은 요도 끝의 상재균일 가능성이 높다. 분리된 미생물이 원인균이라고 판단되.. 2024. 4. 7.
항문주위 농양 , 치루 항문주위 농양(perianal abscess)은 항문과 직장 주위 조직에 염증이 생겨 곪은 것을 말한다. 이 상태가 만성화되어 항문 안쪽과 바깥쪽에 길이 생겨 고름이 나오는 경우를 치루(anal fistula)라고 한다. 항문주위 농양과 치루는 같은 질환으로 농양은 급성기이고, 치루는 만성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원인 여러 가지의 원인이 있지만 배부분은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인해 생긴다 사람의 눈에 눈물샘이 있어서 눈물이 나오듯이, 항문에는 치상선 부근에 항문샘이 6~8개 있어 배변 시 윤활액이 나와 대변이 부드럽게 나오도록 도와준다. 이 항문샘이 대장균이나 혐기성균으로 감염되어 곪아, 주위 조직으로 확산되면 항문주위 농양이 된다. 항문주위 농양은 항문의 충수돌기염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농양이 약한 .. 2024. 4.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