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79

생명공학 업종에 투자할 때 참고할 사항_모닝스타 성공투자 5원칙 최고의 생명공학회사들은 풍성한 잉여현금흐름을 창출하지만 아주 공격적인 투자자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투자자들에게 이 분야는 투기적인 성격이 짙다. 성공 기업을 선택하려면 어느 정도의 요령과 과학 지식, 그리고 아주 많은 행운이 필요하다. 생명공학회사들은 종종 제약회사들보다 더 젊고 더 혁신적이며 더 빠르게 성장한다고 여겨진다. 그들은 대형 제약회사들이 사용하는 화학적 방법이 아니라 생물학적 방법(분자와 세포 등)을 통한 신약 개발을 모색한다. 또한 생명공학회사들은 앞장서서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고 있으며 단백체학과 유전자학 같은 혁신적인 기술 플랫폼을 사용한다. 하지만 생명공학 의약품 개발은 아직은 불확실한 부분이 많은 데다 기상천외한 치료법으로 인해 제품의 리스크도 상당히 높다. 새로운 치료법으로 성공한다.. 2024. 12. 15.
ThinkEquity Partners 투자 십계명_내일의 스타벅스를 찾아라 훌륭한 회사의 특징은 사업을 운영하는 방식이 체계적이고 전략적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투자자도 마찬가지다. 훌륭한 투자작 되려면 회사를 분석하는 방법이 체계적이고 전략적이어야 한다. '내일의 스타벅스를 찾아라(마이클 모 저, 이건 역. 데이원)'에서는 내일의 스타를 찾아내고 투자하는 ThinkEquity Partners process를 소개한다.  1. 기본에 충실해라. 이익 성장이 주가를 밀어 올린다. 시간이 흐르면서 회사의 실적과 주가 상승은 반드시 100% 상관관계를 유지한다.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회사에 주목하라. 2. 사후에 반응하지 말고, 앞서서 생각하라. 앞을 내다보고 세상이 흘러가는 방향을 예상해야, 성공 주식을 일찌감치 잡을 수 있다. 오늘 신문기사에 반응하려 하지 말고, 내일 신문기사.. 2024. 12. 13.
시스템이 사업이다_돈 버는 절대 회계 꼭 전업투자자가 아니라고 해도, 투자를 진지하게 대하는 직장인이라면 투자를 사업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업이 있지만 부업도 하는 셈이다. 제대로 된 원칙을 갖고 하는 트레이딩이라면  이 역시 사업이라고 할 수 있겠으나, 주식은 기업의 소유 지분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이는 투자가 사업에 더 가까워 보인다.  개인이 투자를 사업으로 행한다는 건 곧 자신만의 체계 즉 시스템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 번의 투자에서 성공을 맛보았다고 해도 이러한 과정과 성과를 반복하지 못한다면 시스템이 있다고 할 수 없고 사업이라고 하기에도 부족하다. '돈 버는 절대 회계(박경민 저. 경이로움)는 현직 회계사가 중소기업 대표를 대상으로 한 회계 혹은 비법에 대한 책이다. 직장인인 나는 이 책의 목표 독자에 해당하지 .. 2024. 12. 12.
시장의 반등에도 회복하지 못하는 기업_100배 주식 '100배 주식(크리스토퍼 메이어 저. 송선재 역. 워터베어프레스)'에서는 2007~2008년 경제위기가 걷히고 있을 때, 서드 에비뉴 밸류 펀드(Third Avenue Value Fund)의 마틴 휘트먼이 주주들에게 보낸 '시장의 회복'이라는 제목의 편지를 소개한다.  일반적인 시장은 가격 폭락 이후에 다시 제자리로 되돌아가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1932년, 1937년, 1962년, 1974~1975년, 1980~1982년, 1987년, 2001~2002년이 모두 그랬습니다. 전례 없었던 2007~2008년의 위기 후에도 시장은 마찬가지로 회복될 것입니다. 경제위기 이후로도 수 차례의 폭락이 있었지만 시장은 반등에 성공했다. 현재 미국 증시가 너무 고점이라는 평가가 여기저기서 들려오고 있는데, 이후 찾.. 2024. 1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