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576 무형자산의 상각 C2.10. 특허권특허권의 상각은 회사 운영의 가치 증분을 측정하는데 적절한 비용인가?- Reference.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문제 풀이특허권(patent right)은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독점적으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무형자산(intangible asset)이다.특허권은 여러 해 동안 제품 판매와 영업이익 창출에 기여한다.따라서 특허를 외부에서 인수하여 취득한 경우(acquired patent) 그 비용을 한 해에 모두 비용 처리하면 수익과 비용의 대응(matching principle)이 심하게 깨지게 된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회계는 특허권을 무형자산으로 인식하고, 그 경제.. 2025. 11. 17. 배당, 감가상각, 자본적 지출의 비용처리 여부 C2.8. 배당(Dividends)배당은 왜 손익계산서에서 비용 처리되지 않는가?- Reference.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문제 풀이배당(dividends)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을 주주에게 배분하는 행위다.즉, 배당은 기업의 운영이나 생산 활동에서 발생하는 “비용”이 아니라 이미 벌어들인 이익을 주주에게 나누어주는 자본거래다.회계에서는 비용(expense)을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기업이 소모한 자원”이라고 정의한다.반면 배당은 수익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 자원이 아니며, 기업의 가치를 줄이는 활동이 아니라 주주에게 현금을 돌려주는 이익배분(distribution)이다.따라서 배당은 손익계산.. 2025. 11. 17. 1990년대 주식시장의 PBR이 높았던 이유 C2.7. PBR이 높은 두 가지 이유주가장부가치비율은 회사가 장부가치를 어떻게 측정하는가에 따라 결정된다.1990년대에 주가장부비율이 높았던 회계적 이유를 들 수 있는가?높은 주가장부가치비율을 설명할 수 있는 다른 요소들은 무엇이 있는가? - Reference.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문제 풀이Price-to-book ratio(PBR)은 주가(시가총액) / 장부가치(자본총계)로 계산된다.따라서 PBR은 회계가 장부가치를 어떻게 측정하는가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특히 1990년대는 정보기술(IT), 소프트웨어, 인터넷 기업이 급성장한 시기로, 회계 기준이 무형자산을 거의 인식하지 않았기 때문에.. 2025. 11. 16. 수익비용대응의 원칙(matching principle)이 잘 되지 않는 경우 C2.6 Matching principle수익비용대응이 잘 되지 않는 예를 들어보시오.- Reference.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문제 풀이재무제표에서 수익과 비용은 같은 기간에 대응(matching) 되어야 한다.즉, 어떤 매출이 발생했다면 그 매출을 만들어내기 위해 사용된 비용도 같은 회계기간에 반영되어야 한다.그러나 실제 기업에서는 회계 기준의 제약, 추정의 불확실성, 비용 처리 방식 때문에 수익과 비용이 제대로 매칭되지 않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를 poor matching(부적절한 대응)이라고 한다.아래는 모두 수익 시점과 비용 시점이 불일치하여 경제적 성과를 왜곡하는 사례들이다... 2025. 11. 16. 이전 1 2 3 4 5 6 7 ··· 14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