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합병증과 비교할 때 후기 합병증은 정량하기가 어려운데, 이는 중환자실 생존자에 대한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어렵고 합병증이 기관절개술에 부차적으로 발생한 것인지 아니면 기관내삽관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이 둘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인지를 판단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육아조직
기관절개술 이후 빈번하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육아조직 발생을 꼽을 수 있으며 많은 환자가 기관창 부위가 어느 정도 좁아지는 것을 경험한다. 이러한 합병증은 대체로 증상이 없지만 심한 경우 기도폐색 기관협착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기관협착
기관절개술 이후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후기 기도 합병증으로, 관련 위험인자로는 패혈증, 기관창의 감염, 과도한 커프 압력으로 인한 점막허혈, 고령, 전신성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를 한 경우, 장기간의 기도내관 유치 등이 있다. 기관창의 위치가 높거나 윤상연골이 손상을 입었을 경우도 기관협착의 위험 증가와 관련될 가능성이 있다. 고용량 저압 기관내 커프의 사용으로 중증(>50%) 기관협착 유병률은 감소하였는데, 최근 연구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기관협착 발병률은 1.7~5.9% 사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인 경우 기관절개술 이후 합병증이 보다 많이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는데, Halum 등은 미국 내의 1,1175 건의 기관절개술과 연관된 합병증을 조사한 결과 BMI > 30과 기도협착발생 사이에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다고 한다.
응급실에서 경피적 기관절개술이 시행된 환자에서 증상이 없는 기관협착이 자주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지만, 협착의 정도는 일반적으로 심하지 않다. Morwood 등은 경피적 기관절개술을 시행받은 환자에 대해 30개월 간 기관 CT 등의 추적조사를 시행하여 48명 중 15명(31%)에게서 10%의 기관협착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이들 환자 중 단 한 명만이 50% 이상의 기도강 협착이 관찰되었다. 한 명의 환자를 제외하면 모든 협착은 stoma 부위에서 발생하였다.
기관내삽관과 기관절개술은 각각 기관협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기관내삽관과 기관절개술의 효과를 구분하기는 상당히 어렵다. 다만 기관절개술 이후 기관협착과 기관내삽관 이후 기관협착은 다르다. 기관절개술 시행 이후 발생하는 기관협착은 일반적으로 기관 stoma 부위에 과도한 육아세포 형성을 동반한 비정상적인 상처 치유에서 초래된다. 과도한 육아세포는 골절연골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골절연골은 기관절개술 중에도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기관연골고리 골절이 실제로 향후 기관협착과 연간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 의문이 제기되었다.
흉터 형성
중환자실 환자에서 기관절개술과 같은 중재술로 흉터가 남을 수 있는데, 경피적 기관절개술의 경우 절개창이 작기 때문에 조직손상이 적고 미관상 문제 되지 않는 흉터만 남게 된다. 이에 반해 수술적 기관절개술의 경우 흉터의 길이가 더 길고, 비정상적인 색소침착, 주름 비대가 관찰되며, 눈에 띄거나 보기 흉한 상처가 남는 경향이 있다.
변성
Norwood 등에 의한 연구에서 경피적 기관절개술을 시행한 100명의 환자에 대해 면담이 진행되었는데, 환자의 27%가 목소리가 변하였다고 하였고 2%는 쉰 목소리가 심했다. 캐뉼라 제거 후 16개월 후에 66명의 환자를 평가한 연구에서 21%의 환자에게서 경정의 목소리 변성이 보고되었다.
삼킴 장애(연하곤란)
기관튜브가 삽입되어 있을 경우 흡인이 유발되거나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설명할 수 있는 기전으로 후두의 당김, 상기도의 둔감화, 성대폐쇄반사장애, 후두근육 미사용에 의한 위축, 커프 팽창에 의한 식도압박, 삼킴 시 성문하기압 소실 등이 있다. 캐뉼라를 제거하기 전에 정기적으로 삼킴 기능에 대한 평가를 실시할 것을 권고한다.
누공
기관식도루는 환자의 1% 미만에서 발생하는 상대적으로 드문 합병증으로, 일반적으로 기관후벽에 발생한 의인성 손상이 원인이다. 기관절개술 시행 이후 발생하는 드물지만(<1%) 치명적인 합병증은 대량의 출혈을 동반하는 기관동맥루이다. 이러한 누공의 대다수가 기관조루관 삽입 이후 3일에서 6주 사이에 발생한다. 위험인자로는 높은 커프 압력으로 인한 압력괴사, 캐뉼라 팁의 위치가 올바르지 않아 발생하는 점막외상, 기관하단 절개, 과도한 목 움직임 등을 들 수 있다. 즉각적으로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치명적이다.
기관연화
드물게 발생하는 후기 합병증으로, 압력괴사, 혈류장애, 감염재발과 더불어 지지연골의 파괴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렇게 기도가 약화되면 호기 시 기도폐쇄가 초래될 수 있다.
Reference
Textbook of POST-ICU medicine. 군자출판사
2024.03.31 - [의학] - 기관내 삽관의 초기 합병증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루의 병태생리학 (0) | 2024.05.02 |
---|---|
ICU-acquired pneumonia 환자에서 시행한 항생제 점감요법(de-escalation)의 효과는? (0) | 2024.05.02 |
대장내시경 정상 소견 (2) | 2024.04.20 |
3, 4도 치핵의 수술적 치료 (0) | 2024.04.17 |
중환자에서 발생하는 stroke, focal neurologic deficit, seizures, generalized weakness, neuromuscular disorders (0) | 2024.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