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항문 통증 시 감별 진단

by Blueorbit 2024. 3. 14.

항문관(anal canal)의 치상선(dentate line)윗부분은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아 통증을 못 느끼고 치상선보다 아랫부분은 체신경의 지배를 받아 통증을 민감하게 느낀다. 따라서 치상선보다 아래 부위에 생긴 질병은 대개 통증이 동반된다. 통증을 느끼는 항문질환은 대표적인 것이 치열과 항문주위농양이고, 내치핵은 보통 통증이 없으나 감돈치핵이 된 경우 통증이 있고, 혈전성 외치핵은 통증이 있다.


1. 열이 나면서 아픈 경우: 항문주위농양, 치루

항문주위에 고름집이 생기는 항문주위농양이나 치루일 때는 열이 나면서 항문통증이 있다. 처음에는 감기처럼 열이 나며 몸살기운이 잇고 머리가 아프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항문주위가 통통 붓고 벌겋게 되어 앉아 있을 수도 없고 심지어는 걷기도 불편하다.
 

https://www.borraginol.com/borralab/en/hemorrhoid/pain/

 


2. 피가 나오면서 통증이 있는 경우: 급성 치열

대변에 의해 항문이 찢어져 생긴 급성 치열은 배변 시 심한 통증이 잇다. 통증은 대변이 단단할수록 심하며, 통증에 비해서 출혈은 심하지 않아 화장지에 묻는 정도이고, 출혈이 많아도 방방방울 똑똑 떨어지는 정도이다. 배변이 끝나면 출혈도 멈추는 것이 보통이다. 이런 증상이 반복되면 치열 부위가 깊어지게 되어 항문질환 중에서 가장 통증이 심한 만성 치열이 된다. 이런 때에는 변을 적당히 부드럽게 유지하기 위해 식물성섬유소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고, 변완화제를 쓰며, 좌욕을 하면 증상이 많이 호전된다.
 

3. 배변 후 조금 있다가 다시 쥐어짜듯 통증이 오는 경우: 만성 치열

변을 보는 도중에도 앞에서와 같은 진통이 있지만 그보다도 배변이 끝났을 때 항문이 심하게 조이는 느낌이 들면서 항문이 타는 듯한 통증이 시작되어, 통증이 20~30분, 때에 따라서는 한나절 이상 계속되는 경우도 있다. 이 통증을 라이터 불로 항문을 달구는 듯하다고 표현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면 변비는 더 심해지고 굳은 변은 항문을 찢어 놓아 치열은 더 악화된다. 또한 배변이 무서워 식욕도 떨어지게 된다. 이 시기가 되면 출혈은 오히려 가벼워지고 때로는 출혈이 없는 경우도 있다.

이는 치열이 오래되어 만성이 된 것이다. 찢어진 부분이 깊이 패이는 궤양이 되어 항문의 내괄약근이 노출되고, 이것이 자극을 받아 경련을 일으키므로 심한 통증을 동반한다. 대개 이 상황이 되면 항문 바깥쪽으로는 피부꼬리가, 안쪽으로는 사마귀 같은 항문용종이 생기게 된다.

젊은 여성에게 많으며 얼굴을 찌푸리고 안절부절 진찰실에 들어오면 대부분 만성치열이 틀림없다.
 

 

4. 항문에 작게 부은 것이 있으면서 통증이 있을 때: 혈전성 외치핵

항문이 끝난 바로 그곳에 콩만 한 크기로 부어 올라온 것이 있으면서 통증이 있을 때는 혈전성 외치핵이다. 부어오른 것은 팥알크기부터 밤크기까지 다양하며 통증도 상당히 심한 것부터 통증이 없는 것까지 다양한데, 어느 정도의 통증이 있는 것이 보통이다. 혈전성 외채핵은 혈전, 즉 핏덩어리가 뭉쳐 잇는 것이다. 항문주위농양의 증상과 유사하다.

5. 뚜렷한 질병이 없이 항문이 아프다: 항문거근증후군

주로 30~50대 여성들이 밤에 잘 때 까무러칠 정도의 통증이 3~5분 지속되다가 가라앉는 경우가 있는데 원인은 항문근육에 쥐가 나기 때문이다. 항문거근증후군이라고 하며, 출산경험이 많은 여성이나 자동차여생을 많이 한 여성에게서 잘 나타난다. 환자의 증상과 항문기능검사를 통해 정확히 검사할 수 있다.

6. 항문주위에 딱딱한 응어리가 생기면서 붇고 통증이 있을 때: 항문주위 농양

항문에서 약 2cm 정도 떨어진 곳에 딱딱한 응어리가 있으면서 통증이 있는 경우가 있다. 딱딱한 응어리는 피부색이 벌겋게 되어 있으며 열감이 느껴진다. 대개 2~3일 전부터 열이 나므로 몸살기운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는 항문주위 농양으로, 농양이 항문 위쪽 직장 주위에 생기면 통증이 없다. 항문주위 농양은 절개해서 고름을 빼내면 아주 편해진다. 절개만 했을 경우에는 후에 약 2/3에서 치루가 된다.

Reference
누구나 알기 쉬운 치질, 변비 이야기. 양형규 저. 세창출판사
 

2024.03.13 - [의학] - 항문 질환에 대한 개요

항문 질환에 대한 개요

항문직장 질환의 성공적인 치료는 다양한 상황에 기인하는 증상들의 명확한 이해에 달려 있다. 뿐만 아니라 항문직장의 기능과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생리학적 기능 역시 반드시 굴해야 한다.

blueorbit.tistory.com

 

2024.03.10 - [의학] - 항문관(anal canal)의 해부학적 구조

항문관(anal canal)의 해부학적 구조

Anal canal 항문관은 소화관에서 비교적 작은 부위를 차지하는 분절이지만, 독특한 해부학적 구조와 복잡한 생리기능으로 배변자제(continence)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또한 여러 가지 질병에 대

blueorbit.tistory.com

 
2024.02.16 - [의학] - 외과적 항문관, 항문의 혈관

외과적 항문관, 항문의 혈관

외과적 항문관 항문관(anal canal)은 길이가 약 3~4cm이며, 항문 괄약근으로 둘러싸여 있는 부분으로 소화관의 끝부분이다. 항문관은 직장과 항문 외구를 잇는 관상구조이고 상연(윗경계)은 치골 직

blueorbi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