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10-K에서 꼭 확인해야 할 것_뉴욕주민의 진짜 미국식 주식투자

by Blueorbit 2024. 3. 11.

나와 찰리는 사업 분석가다. 우리는 시장 분석가도 거시경제 분석가도, 심지어 증권 분석가도 아니다.

- 워런 버핏

 

사업보고서를 읽는다. 이 보고서에 좋은 기업인지 여부가 나와 있다. 나는 주가를 먼저 보지 않았다. 비즈니스를 먼저 보고 그 가치를 알아내고자 했다. 주가를 먼저 보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사업을 먼저 들여다보고 기업의 '가치'를 매긴 뒤 '가격'을 봤을 때 그 가격이 가치보다 아주 싸면 사는 것이다. 읽을 수 있는 모든 보고서를 읽으며 기업이 저평가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단기적으로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시장 가격이 결정된다. 하지만 시간의 지평이 길어질수록 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주는 근본적 요소가 시장 가격을 지배한다.

- 세스 클라만

 


 

관심 있는 기업의 IR 사이트나 SEC EDGAR 시스템에서 10-K 보고서를 다운로드하여 읽어볼 것을 추천한다. 보고서 전체를 읽지 않아도 괜찮다. 주요 내용이 어디에 있는지만 알고 있어도 기업 현황과 관련해 깊이 있는 정보를 알 수 있다. 10-K에는 SEC가 규정하는 내용을 반드시 수록해야 하므로 기업마다 목차부터 내용 구성까지 동일한 편이다.

 

2023 10-K of HSY

 

Part I

사업 개요, 리스크, 법적 사항을 설명한다.

 

Part II

사실상 본론이자 10-K의 하이라이트다. 특히 MD&A 섹션이 있는데 정식 명칭은 '회사 재무 상황과 사업 실적에 관한 경영진 의견과 분석(Management's Discussion and Analysis of Financial Condition and Results of Operations)이다. 증권거래법상 MD&A 섹션에는 다음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 기업의 지배구조, 주직구조

- 기업의 연결재무제표

- 기업의 실적 목표, 과거 경영진의 기대치와 실제 수치

- 주요 사업 개요, 사업 환경, 시장 동향

- 경영진이 인지하는 사업 리스크와 불확실성

 

이처럼 기업의 사업 모델, 실적, 업계 현황, 경쟁 상황 등 사업 전반의 커다란 그림을 비롯해 현재 기업이 처한 상황과 영업 실적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며 경영진의 전략과 방향성 정보도 제공한다. 이것은 10-K에서 핵심 내용이므로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사업의 리스크 설명(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sclosure About Market Risk)에서는 경영진이 인지하는 해당 사업과 업계가 직면한 리스크, 회사가 자체적으로 극복해야 하는 영업 재무 리스크, 해당 기업의 주식에 투자하는 주주가 인지해야 하는 리스크를 알려준다.

 

 

이런 공시 자료를 읽는 이유는 경영진이 기업 가치 증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는지, 주주 이익 극대화를 위해 합리적인 의사결정과 실행력을 갖추고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서다. 나아가 투자자로서 기업의 장점과 단점을 모두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판단하기 위함이므로 주요 내용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이어 재무제표와 부속명세서(Financial Statements and Supplementary Data) 내용이 나온다. 재무제표에는 기본적으로 지난 2년간의 재무상태표(Balance Sheet), 지난 3년간의 손익계산서(Income Statement)와 현금흐름표(Cash Flow Statement) 그리고 자본변동표(Statement of Changes in Equity)가 있다. 10-K에 공시한 재무제표는 전부 회계감사를 마친(Audited) 상태다.

 

재무제표를 따라다니는 주석 내용에는 재무제표만큼 혹은 그 이상의 의미가 있으므로 재무제표의 특정 항목이 궁금하다면 해당 주석을 함께 보면서 이해해야 한다. 주석에는 각 항목 설명부터 각 수치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어떻게 산정했고 어떤 가정이나 회계상의 법칙을 따랐는지, 영업 실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등이 자세히 나와 있기 때문이다.

 

Part III

경영진 및 이사회 수성과 기업의 지배구조(Directors, Executive Officers and Corporate Governance)에 관한 내용이다. 임원의 보수(Executive Compensation) 정보도 간략히 나와 있다. 그뿐 아니라 기업 내부자로 규정하는 주체(임원, 회장, 이사회 멤버 등)의 주식 보유 현황, 해당 기업과 지분관계가 있는 모든 외부 주체의 정보도 있다.

 

Part IV

요약 재무 실적과 각종 참고자료를 포함한 부록 같은 내용이다. 

 

참고로 미국 증권거래법상 10-K는 회계연도가 끝나면 90일 이내에 제출하고 공시해야 한다. 기업에 3개월 가까이 작성 기간을 주는 셈이다. 만약 기업 회계연도 기준일이 12월 31일이라면 그다음 해 3월쯤 10-K를 공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10-K를 읽을 때에는 작성 기준 날짜(예: 2023년 12월 23일)와 공시한 실제 날짜(예: 2024년 2월 29일) 사이에 벌어진 일, 바뀐 재무 상황, 영업 환경 변화 등에 주의해야 한다(검색 키워드: recent events, recent developments).

 

Reference

뉴욕주민의 진짜 미국식 주식투자. 뉴욕주민 저. 비즈니스북스.

 


 

기업의 특성을 잘 이해하지 못하면 재무제표는 그다지 소용이 없다. 기업을 전반적으로 이해한 후 재무제표에서 세부 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 워런 버핏

 

2022.08.18 - [투자] - 투자하기 전에 반드시 해야 할 질문 - 주식투자 절대 원칙

 

투자하기 전에 반드시 해야 할 질문 - 주식투자 절대 원칙

친구가 추천한 주식농부 박영옥님의 '주식투자 절대원칙'을 읽었다. 기본적 평가를 어떻게 하고 어떤 관점으로 투자를 해야 하는지 알 수 있었다. 일반 개미가 따라 하기에 부담스러운 점들도

blueorbi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