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상8

Hydrocolloid 드레싱 제품의 특징 상처 치료에 많이 사용되는 hydrocolloid 드레싱제에는 Duoderm CGF, Duoderm extra thin(ConvaTec), Comfeel ulcer, Comfeel transparent(Coloplast), 이지덤(대웅제약), 메디터치 H(일동제약) 등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 '창상 드레싱제(대한창상학회. 군자출판사)'에서 이 제제의 특징과 장점, 단점, 적응증 및 적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Hydrocolloid 드레싱제의 특징 Hydrocolloid 드레싱 제품은 gelling agent, elastomeric, adhesive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삼출물 흡수에 가장 대표적인 성분은 carboxymethylcelluose(CMC)이며, 가장 바깥층은 필름층으로 외부로부터 박.. 2023. 11. 9.
화상, 창상 환자에서 사용하는 합성 창상피복재 합성 창상피복재는 통증 및 회복 시간을 줄여주고 생물학적 대체재에 비해 저렴하여 표재성, 부분층 화상의 치료에 유용합니다. 다양한 종류의 합성 피복재들이 있고, 개인적 선호도가 경험에 따라 치료자가 선택하는 피복재가 달라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합성 창상피복재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Mepitel(메피텔) Mepitel은 건조한 정상 피부에는 들러붙지만 창상 표면에는 붙지 않는 피복재로, 적용 후 최대 2주까지 유지 가능하며, Mepitel 바로 위에 2차 피복재를 덮을 수 있습니다. 필요시 Mepitel은 유지하여 창상 표면은 건드리지 않고 2차 피복재만 교체할 수 있습니다. Silver sulfadazine과 비교하여 Mepitel은 소아 화상환자에서 회복기간을 감소시켜 주는 경향이 있습니.. 2023. 11. 7.
화상 환자의 상처 소독 방법 이번 글에서는 화상 환자의 상처 소독 방법과 감염 및 항생제의 사용 여부, 백신, 그리고 창상 밀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적절한 창상 드레싱 방법들에 관해서는 다양한 연구결과들이 있어, 의료진의 개인적 선호나 익숙함에 따라 그 방법이 결정되기도 합니다. 창상 드레싱은 주로 외부 환경으로부터 창상을 보호하고 창상 회복을 촉진하는 습윤한 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므로, 이러한 조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다면 어떤 드레싱 방법을 사용하든지 창상을 적절하게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상처 소독 방법 1도 화상의 처치 1도 화상의 처치는 필요한 경우에 피부 연화제나 가벼운 드레싱 정도를 시행합니다. 추적관찰 시 창상이 어떻게 회복되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2024.01.04 - [의학] - 경증 화상 환자의 관리 경증 .. 2023. 11. 4.
화상과 관련된 대사 변화 화상에 의한 손상은 환자의 대사 과정(metabolism)에 많은 변화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화상 후 신진대사 변화 신진대사 속도 증가는 화상 후 대사 변화의 대표적인 특징입니다. 신진대사 항진의 정도는 화상의 크기, 화상 환자의 치료 방법, 환자 주변 온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체표면적 30-70% 화상 범위 내에서 대사항진의 정도는 화상의 크기에 비례하는 경향이 있으나, 이 범위 외의 화상 환자는 대사항진이 정체되어 아주 조금씩만 증가합니다. 패혈증은 통증이라는 생리적 스트레스와 마찬가지로 대사반응을 증가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화상 손상의 최신 의료 지침(병변 조기절제, 폐쇄 창상 치.. 2023. 11.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