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골의사의 주식투자란 무엇인가7 모래성이 무너지는 이유 최근 시장 분위기는 혼란스럽게 느껴집니다. 작년 말만 해도 올해 봄에 금리인하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들이 많았는데, 생각보다 강한 지표들로 금리인하가 언제쯤 일지 예상하기 어렵습니다. 시간이 지나고 현재 상황을 되돌아본다면 코로나 판데믹으로 인한 버블이 터진 후유증으로 기억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버블이 완전히 터진 건지, 아니면 터지고 있는 과정 중에 있는지는 시간이 조금 더 지나 봐야 아는 것이겠지요. 이번 글에서는 '시골의사의 주식투자란 무엇인가 1(박경철 저. 리더스북)'에서 버블이 터지는 과정을 모래성이 무너지는 데 빗대어 설명한 부분을 살펴보겠습니다. 주식시장과 모래성 덴마크 출신 물리학자 페르 파크는 "셀 수 없는 다양한 요소들이 결합된 하나의 조직은 조직을 통제하는 한 특정한.. 2024. 2. 25. 이익을 극대화하는 포트폴리오 구성 원칙 월가 구루들의 견해 차이 당신이 아무리 최고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고 해도 늘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재점검하고 보유종목을 개편해야 한다. 물론 그 주기에 대한 이견이 있고, 기준에 대한 판단이 다르지만 모든 투자자에게 필요한 일이다. 1. 피터 린치는 가능성이 있는 주식을 모두 골라 광범위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되, 중간점검을 통해 가능성이 낮아지는 종목을 솎아내면서 포트폴리오를 관리하여 10개 중에 한두 종목만 소위 10루타 종목이 되면 전체의 포트폴리오는 큰 이익이 난다는 논지를 편다. 즉, 어차피 무엇이 대형 수익을 내줄 것인지는 하느님만 아는 일이므로 포트폴리오에서 손실은 극소화하고 이익은 극대화하는 전략을 펼치는 것이다. 2. 워런 버핏은 10년 이상 가져갈 수 있는 종목이 아니라면 사지도 말고, .. 2022. 8. 15. 초심자의 행운에 숨겨진 함정 시골의사의 책은 예전에 몇 권 읽었었다. '시골의사의 아름다운 동행 1, 2권'과 '시골의사 박경철의 자기혁명'을 읽었는데, 특히 '시골의사의 자기혁명'은 정말 대단한 책이라고 느꼈던 기억이 난다. 방대한 독서력과 필력. 당시는 투자하기 전이라 '시골의사의 부자경제학'은 사놓고 읽지 않다가 중고 판매를 해버렸다. 오늘 집근처 도서관에 들렀다가 찾던 책이 없어 당황하던 중에 '시골의사의 주식투자란 무엇인가'란 책이 있어 집어 들었다. 요즘에는 매스컴에는 나오지 않지만 저자의 독서력과 필력이 대단하다는 걸 알고 있었기에 과연 10년도 더 전에 저자는 시장에 대해서 무슨 말을 했었을지, 그리고 지금 상황과는 어떻게 관련이 있을지 보고 싶었다. 읽던 중 초심자의 행운이라는 단락을 읽다가 정말 나의 상황에 맞는 .. 2022. 8. 15.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