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골의사의 주식투자란 무엇인가7

대중의 광란에서 벗어나는 법_시골의사의 주식투자란 무엇인가 골드만삭스의 로버트 멘셜은 '시장의 유혹, 광기의 덫'이라는 책에서 미국의 사회학자 에드워드 올스워스 로스의 입을 빌려 광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첫째, 광기가 마지막 고원에 도달하는 데는 예상보다 훨씬 더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둘째, 전염이 강해지면 강해질수록 그것이 확산되는 범위가 커지면 커질수록 광기에 동참하는 지성들의 수준도 점점 더 높아진다.셋째, 광기가 정점으로 치달을수록 그 논리는 점차 부조리해지며 주의주장에서는 비합리적인 허점들이 속속들이 발견된다.넷째, 광기가 고조될수록 그에 따른 행동은 점점 즉각적이고 강력해진다.다섯째, 광기는 또 다른 광기를 불러오며 처음과는 서로 다른 논리들을 연결해서 본질이 변화된다.여섯째, 냉철하며 합리적인 사회보다는 정열적이고 역동적인 사회가 광기에.. 2024. 12. 16.
이익잉여금의 재투자와 가치평가 개별 기업에 투자할 때 배당금을 지급하는지 여부가 투자 고려 요소 중 하나일 수 있다. 배당금을 꾸준히 지급하는 기업은 사업이 탄탄하게 굴러간다는 자신감의 표현일 수 있고, 투자자 입장에서는 어려운 시기를 버티는 힘이 될 수 있다. 배당 여부는 기업이 속해 있는 업종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며, 현재 기업이 위치해 있는 라이프사이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익을 배당금으로 주주에게 나눠줄지, 아니면 사업에 재투자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높일지를 결정하는 경영진의 판단 능력은 주식 투자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다. 따라서 배당금은 가치평가의 주요 요인이기도 하다.  '시골의사의 주식투자란 무엇인가 2. 분석 편'에서는 가치와 잉여 현금흐름, 그리고 배당금에 대해 이야기한다. 저자인 시골의사는 주.. 2024. 12. 10.
재무제표로 기업을 고르는 5가지 원칙 '시골의사의 주식투자란 무엇인가 2 분석 편(박경철 저. 리더스북)'에서 저자는 재무제표를 읽고 '무엇을 사지 않을 것인가'를 고른다는 것은 기업의 인사담당자가 수천 명의 지원자 중에서 부적격자로부터 추려내는 서류심사와 같은 과정이라고 말합니다. 투자자가 즐겨 사용하는 제품을 생산하거나 혹은 관심이 있는 기업이라고 할지라도 재무제표를 확인함으로써 소중한 돈과 시간을 들여 투자할 만한 회사인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시골의사가 제시한 재무제표로 기업을 고르는 다섯 가지 원칙을 살펴보겠습니다. 나의 최대 업적은 어리석은 일을 하지 않은 것이다. 현재는 살 만한 주식이 눈에 띄지 않는다. 할 일이 없다면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된다. 모두 현금으로 바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앉아 있기 위해서는 용기.. 2024. 3. 25.
투자 언어, 재무제표 재무제표를 읽는 이유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손실 방지다. 손실의 종류를 잘못된 투자에서 오는 손실, 이익을 낼 수 있는 투자를 하지 않아 생기는 기회비용의 손실 그리고 잦은 거래로 인해 발생하는 거래비용의 손실이 있다. 투자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이중 기회비용의 손실이다. 기회비용의 손실은 시장에 참여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게 아니라 꼭 투자해야 할 종목에 투자하지 않아서 발생한다. 가치투자에서는 시장 참여 자체에 대한 압력이 없다. 시장에 참여하지 않아야 할 경우는 모든 종목이 비싸게 거래될 때다. 상대적으로 싼 주식들이 널려 있다고 해서 참여하는 게 아니다. 절대적으로 싼 주식을 놓치는 것이 기회비용의 손실이다. 거래 손실이나 기타 손실들은 이를 바로잡음으로써 충분히 제어할 수 있다. .. 2024. 3.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