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자220

시장의 유동성 확인: M2/GDP 비율 (Marshallian K) "여의도가 사랑하는 금융 지표를 하나 뽑으라고 한다면, 단연 M2(광의통화)라고 말할 것이다. M2는 통화량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인데, 증시는 이 유동성에 매우 진지하다. 유동성이 대규모로 공급되면, 조만간 주식 시장은 큰 추세를 돌려 상승세로 돌아설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FED가 금리를 인하하고 유동성을 공급해 주기만 오매불망 기다리는 것이다. 엄밀하게 말해서 M2 자체가 중요하다기보다 GDP(Gross domestic product) 증가율 대비 M2의 초과 증가율이 증시와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살 때, 팔 때, 벌 때(강영현 저, 21세기 북스)"에 나오는 M2, M2/GDP ratio에 대한 내용입니다. M2/GDP 비율은 국내총생산(GDP)에 대한 국가의 통화 공급량(M.. 2024. 1. 7.
트레이더가 실패하는 세 가지 이유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주식 시장에서도 많은 이들이 성공적인 트레이더가 되기를 꿈꾸지만 바라는 대로 성공하는 트레이더는 극소수입니다. '터틀의 방식(커티스 페이스 저. 이은주 역. 이레미디어)'에서 저자인 커티스 페이스는 그 이유로 다음 세 가지를 꼽습니다. 1. 무계획 트레이더 중에는 직감이나 예감, 떠도는 소문, 추측 그리고 자신이 향후 시장의 가격 변동에 대해 뭔가 알고 있다는 믿음을 근거로 트레이딩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2. 너무 높은 리스크 수준 투자 고수라고 하는 사람들 중에도 리스크 수준을 너무 높게 정한 탓에 파산에 이르는 사람이 많다. 여기서 너무 높은 리스크 수준이란 안정적이라고 판단되는 리스크 수준에서 50% 혹은 100%가량 높은 정도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공격적 전략임을 어느 .. 2024. 1. 6.
인공지능의 4단계 '어떤 제품이 지능이 있다'라고 할 때 가장 떠올리기 쉬운 것은 '그 제품이 뭔가 생각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일 것입니다. 청소 로봇 '룸바'는 방의 형태와 쓰레기의 상황에 따라 움직임이 변합니다. 인공지능 내장의 세탁기라면 세탁물의 양이나 온도, 습도 등에 의해 세탁의 방법을 달리하지요. 처해진 상황에 따르고 어떻게 동작하면 좋을지를 생각하고, 보다 '똑똑하게' 행동을 합니다. 즉 입력(인간의 오감에 해당하는 'sensor')에 의해 관측한 주위의 환경이나 상황)에 따르고, 출력(운동 기관에 해당하는 'actuator'에 의한 동작)이 바뀐다는 것입니다. 인공지능으로 유명한 교과서인 Stuart Russel'의 'Agent approach'에서는 정말로 입력에 의해 출력이 변하는 'agent'(소프트.. 2024. 1. 5.
중앙은행의 통화정책(monetary policy) 국가 차원에서 경기에 대응하는 정책을 경기정책(business cycle policy)이라고 합니다. 경기정책은 경기가 급변하지 않고 늘 좋은 상태로 유지하는 데 목적을 두는데, 경기가 확대 국면을 지나 과열됐다가 급강하하는 패턴을 밟지 않게 예방하고, 이미 침체한 경기는 되살리려고 합니다. 이를 위해 정부가 구사하는 여러 가지 정책 수단 중 대표 격이 재정정책(fiscal policy)과 통화정책(monetary policy)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경제기사 궁금증 300문 300답(곽해선 저. 혜다)'에 설명하는 통화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통화정책의 효과 현대 국가에서는 보통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폅니다. 통화정책의 본래 목적은 경기 대응이 아니지만 재정정책처럼 경기정책 용도로 쓸 수 있습니다... 2024. 1.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