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221 손절매(stop loss order)의 종류와 '실패 재설정' 이번 글은 손절매(stop loss order)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합니다. 손실제한주문이라고도 하는 손절매는 말 그대로 손실을 끊어낸다는 용어인데 투자나 트레이딩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종종 활용하기도 하지요. 예를 들어 인간관계를 끊어낼 때 '그 사람 손절했다'라는 표현을 하기도 합니다. 말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그 대상이 되는 인물이 본인의 인생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인간관계를 단절했다고 설명할 텐데요, 그동안 그 사람에게 빼앗긴 시간이라던가 정신적인 에너지를 생각하면 손절이 맞지만, 정말 그 관계를 이어갔을 때 계속 악영향을 주고받았다면 긴 인생에서 봤을 때 꼭 손실이라고 할 수 없을 것입니다. 트레이딩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일부 가치투자자의 경우는 본인의 투자 원칙에 '손절매란.. 2024. 2. 17. 주식과 채권의 차이: 배당 수익률 vs. 금리 최근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10 Year Yield)가 4.8%를 기록했는데, 이 수치는 2007년 여름 이후 최고치입니다. 이는 S&P500에서 53개 종목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종목의 배당 수익률(Dividend Yield) 보다 높은 이자 수익률입니다. 다우 지수 30개 종목 중 이 금리보다 배당 수익률이 높은 기업은 단 4개(Wallgreens, 3M, Verizon, Dow chemical)뿐입니다. S&P500의 배당 수익률은 밸류에이션 상승과 기업의 자사주 매입 증가가 더해지면서 오랜 기간 하락하고 있었지만, 평균보다 낮은 배당 수익률도 최근 몇 년 동안은 국채 금리와 비교해도 경쟁성이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더 이상은 아닙니다. 다음은 1926년 이후 S&P500의 배당 수익률(파란색 선.. 2024. 2. 16. 에너지 섹터에 투자할 때 참고할 사항들 에너지 섹터의 석유 관련 기업들에 대해 정치적인 문제로 변동성이 크고, 탄소중립 등의 환경 이슈로 전망을 흐리게 보던 시절이 있었지만 신재생에너지는 석유의 대체제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사용처가 겹치는 곳도 있지만 크게 봐서는 서로 다른 곳에서 사용되고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한다고 봤을 때 수요는 여전히 큽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유가와 에너지 산업에 당연히 주목해야 하며 에너지 섹터의 기업들이 어떠한 특징을 갖고 사업을 해가는가를 알아가는 것은 매력이 있는 공부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모닝스타 성공투자 5원칙(팻 도시 저. 지승룡, 조영로, 조성숙 역. 이콘)'에서 에너지 섹터의 경제적 해자로서 규모의 경제가 가지는 의미와, 에너지 기업에 투자할 때 주목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2024. 2. 16. RNA 치료제와 나노지질입자 최근 제약계에서 많은 항체치료제와 RNA 치료제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 때 모더나백신 이후로 RNA 치료제의 관심이 높아졌지요. 제약회사 투자를 할 때 해당 기업이 어떤 약제를 개발 중이고 그 약제의 작용 기전은 어떤지, 그리고 앞으로 어떤 기술이 각광을 받을지 공부하는 것은 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바이오 투자의 정석(박한슬 저, 생각의 힘)'에서 설명하는 RNA 치료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새롭게 다가올 의약품, RNA 치료제 현재 바이오의약품의 주류는 항체의약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다른 방식으로도 생체기능을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다면 굳이 항체의약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지요. 인체의 기능은 기본적으로 DNA에 기록된 유전자에 따라 발현되지만, DNA는 .. 2024. 2. 15.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5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