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장부가(Book Value)를 이용한 가치평가의 장단점

by Blueorbit 2024. 3. 13.
우리는 용도가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계산하기 쉬운 주당 장부가를 정기적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시가로 장부에 계상된 유가증권은 우리의 장부가를 왜곡시키지 않습니다. 그러나 자회사의 경우, 우리 장부에 계상된 그들의 가치와 그들의 내재가치가 매우 다를 수 있으며, 따라서 우리 장부가를 왜곡시킬 수 있습니다.

이런 왜곡은 두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964년 버크셔의 주당 장부가는 19.46달러로 보고되었습니다. 그러나 그 수치는 회사의 내재가치를 상당히 과대 평가한 것이었습니다. 왜냐하면 당시 회사의 모든 자원이 수익성이 약한 섬유사업에 묶여 있었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섬유자산은 장부가만큼의 계속기업가치(going-concern value, 해당 영업활동을 계속할 경우 창출될 수익가치)나 청산가치를 전혀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오늘날 버크셔의 상황은 정반대가 되었습니다. 현재 우리의 장부가는 버크셔의 내재가치보다 훨씬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현재 우리의 장부가는 버크셔의 내재가치보다 훨씬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여러 자회사들의 내재가치가 그들의 장부가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모든 것을 다 설명해 주는 지표는 아니지만 현재 우리의 장부가는-비록 상당히 저평가된 상태이긴 하지만- 버크셔의 대체적인 내재가치 추세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여러분에게 장부가를 보고하는 것입니다. 요컨대 특정 연도 장부가의 증감 비율은 그해 회사의 내재가치 증감 정도를 비교적 적절히 보여준다 하겠습니다. 

워런 버핏. 1997년 버크셔 해서웨이 연차보고서

 

https://marketbusinessnews.com/

 

장부가를 이용한 가치평가의 장점

1. 쉽게 자료를 구할 수 있다

장부가를 계산하는 데 필요한 자료는 재무상태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단, 발행주식 수는 손익계산서나 다른 곳에서 찾아야 한다).
 

2. 계산이 간단하다

장부가는 계산이 간단하고, 회사가 발표하는 보고서에 직접 기재되어 잇는 경우도 있다.
 

3. 장부가에 대한 합의 수준이 높다

장부가를 계산하는 데 사용하는 항목들에 대한 합의 수준이 높고, 따라서 최종 계산 결과에 대한 합의 수준도 높다.
 

4. 일관성 있는 비교가 가능하다

PBR을 계산하면 해당 주식의 분명한 양적 가치를 알 수 있다. 또 해당 기업의 장기 PBR 추세를 살펴봄으로써 해당 기업의 현재 PBR이 어느 수준인지(역대 추세와 비교했을 때 높은지 낮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기업의 PBR이나 시장 및 업종 평균 PBR과도 비교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장부가는 해당 기업이 보다 심도 잇게 분석할 가치가 있는 기업인지를 알려 주는 지표 역할을 한다. 
 

5. PBR 자료는 쉽게 구할 수 있다

증권사와 대부분의 금융사이트는 모든 상장기업의 PBR을 발표하고 있다.
 

6. 예상을 하지 않는다

장부가를 계산함에 있어 이익, 잉여현금흐름, 배당금 같은 항목의 미래 예상치를 사용하지 않는다.
 

 

장부가를 이용한 가치평가의 약점

1. 제한된 정보만 반영한 지표이다

재무상태표만 사용해 장부가를 구하기 때문에 장부가는 해당 기업에 대한 제한된 정보(회계 정보)만 반영한 지표이다.
 

2. 너무 단순하다

장부가는 기업의 가치를 너무 단순화한 것이다.
 

3. 진정한 기업가치를 보여주지는 못한다

브랜드 가치 같은 한 기업이 보유, 통제하고 있는 많은 중요한 자산들이 재무상태표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설혹 포함되어 있다 해도 그 장부가가 적정시가를 반영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장부가만으로는 한 기업의 진정한 가치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Reference
워렌 버핏처럼 가치평가 활용하는 법. 존 프라이스 저. 김상우 역. 부크온
 
2024.03.10 - [투자] - 현금흐름할인법(discounted cash flow method)의 장점과 단점

현금흐름할인법(discounted cash flow method)의 장점과 단점

손에 쥔 새 한 마리가 숲 속의 두 마리보다 낫다. 이솝 주식이든 채권이든, 모든 증권의 적절한 가격은 미래에 발생할 모든 수입의 합을 현재의 금리로 할인한 가치이다. 로버트 비제 장점 1. 구

blueorbi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