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환자의 steroid 치료

by Blueorbit 2024. 2. 29.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ARDS,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환자에서 투여하는 systemic glucocorticoid therapy는 다음과 같다.

 

1. Systemic glucocordicoid therapy에 대해 ARDS와 관련이 없는 indication이 있는 경우

Steroid-responsive process(eg, acute eosinophilic pneumonia)가 ARDS에 동반되어 있을 때 systemic glucocorticoid therapy를 시작해야 한다. 또한 refractory sepsis 혹은 community-acquired pneumonia에서 ARDS가 발생했을 때 indication이 된다면 glucocortocoids를 투여할 수 있다.

 

2. 중등도에서 중증(moderate to severe) ARDS 환자에서 standard therapy에 실패한 경우

Low tital volume ventilation을 포함한 일반적인 초기 치료에도 반응이 없는 persistent or refractory moderate to severe ARDS(partial arterial pressure of oxygen/fraction of inspired oxygen [PaO2/FiO2] ratio <200) 환자에서 비교적 조기(발병 후 14일 이내)에 glucocorticoid therapy를 시작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는 mortality benefit이 있다는 임상적 연구를 근거로 하며, the 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European Society of Intensive Care Medicine (SCCM/ESICM)에서는 moderate to severe ARDS 환자에서 초기에 glucocorticoids를 시작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3. 다음과 같은 환자에서는 glucocorticoids를 투여하는 것을 추천하지 않는다.

- Less severe ARDS
심하지 않은 ARDS 환자에게 routine 하게 glucocorticoids를 투여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 ARDS가 발병한지 14일이 지난 경우
그동안 발표된 임상 연구들에서는 발병 후 14일이 지나지 않은 환자들을 무작위로 선택한 연구들에서 mortality benefit이 있었다. 발병한 지 14일이 지난 persistent ARDS 환자에게 glucocorticoids를 투여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환자군에게 glucocorticoid가 해롭다는 보고가 있다. 이렇게 disease course 후반부에 있는 persistent/refractory ARDS 환자들에서는 glucocorticoid therapy가 적절할 수 있는 다른 원인들(eg, organizing pneumonia)에 대한 추가적인 diagnostic evaluation(eg, bronchoscopy, lung biopsy)을 해야 한다.

 

 

- 특정한 viral infections

일반적으로 influenza infection에 이차적으로 ARDS가 발생한 환자에서는 glucocorticoid 투여가 불량한 예후와 관계가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COVID-19 infection은 따로 다룸.

 

 

4. ARDS 환자에서 glucocorticoids therapy에 대한 regimens

- Methylprednisolone
1 mg/kg per day for 12~28 days followed by a taper.

- Dexamethasone

20 mg IV once daily for 5 days, then 10 mg once daily for 5 days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eg, methylprednisolone, hydrocortisone, dexamathasone)와 용법은 임상 연구들마다 다르지만, 대체로 그 efficacy는 유사하다.

 

ARDS 환자에서 glucocorticoid therapy에 대한 임상 연구들의 중요한 limitation으로는 low tidal volume ventilation이 일정하게 시행되지 않았거나 임상 연구들 대부분에서 제대로 기록되지 않은 점을 들 수 있다. Low tidal volume strategy를 기록한 임상 연구 세 건 중 두 건은 placebo와 비교해서 glucocorticoid 투여가 mortality rate에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고 보고하였고, 나머지 한 건만 mortality를 낮췄다고 하였다.

Villar J, Ferrando C et al. Dexamethasone treatment for th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 multicentr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ancet Respir Med 2020; 8:267.

 

연구들을 종합해 보면 mortality benefit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하겠다.

 

Referenc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Supportive care and oxygenation in adults. Uptodate. Apr 28, 2021.

 

2024.03.02 - [의학] -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에서 driving pressure와 survival의 관계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에서 driving pressure와 survival의 관계

Driving Pressure and Survival in th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BACKGROUND Acur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ARDS,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환자에서 낮은 end-inspiratory(plateau) airway pressures, 낮은 tidal volumes(VT), 높은 pos

blueorbit.tistory.com

 

2024.02.20 - [의학] - Patient-ventilator asyncrhony 발생 시 고려할 사항

 

Patient-ventilator asyncrhony 발생 시 고려할 사항

1. Sedation, analgesia, paralysis (진정, 진통, 마비) Mechanical ventilation(기계 호흡) 중인 환자는 tidal volume(1회 환기량)에 상관없이 반드시 적절한 진정과 통증 조절을 해야 한다. Agitation(진전), Delirium(섬망)

blueorbit.tistory.com

 

2023.12.12 - [의학] - 급성호흡곤란증후군 치료에서 glucocorticoid의 역할

 

급성호흡곤란증후군 치료에서 glucocorticoid의 역할

The Role of Glucocorticoids in the Treatment of ARDS: A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Based on the eICU Collaborative Research Database Backgrou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은 intensive care unit (ICU, 중환

blueorbi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