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Demedetomidine(precedex, medex) 용법과 부작용

by Blueorbit 2024. 2. 10.

Delririum(섬망), agitation(진전) 등에서 사용하는 dexmedetomidine(precedex, medex, 프리세덱스, 메덱스)의 용법과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Dosage regimen

일반적으로 initial loading dose는 하지 않지만 필요한 경우 시행할 수 있다. Initial loading dose 투여 시 central alpha 2a receptor의 activation으로 인한 vasodilation으로 인한 transient hypotension이나, peripheral alpha 2b receptor activation으로 인한 transient hypertension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Maintenance dose는 0.2 ~ 1.5 mcg/kg/hour으로, 30분 이상의 간격을 두고 증량한다. 1.5 mcg/kg/hour을 초과하는 용량은 clinical efficacy에 특별히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Venn M, Newman J, Grounds M. A phase II study to evaluate the efficacy of dexmedetomidine for sedation in the medical intensive care unit. Intensive Care Med 2003; 29:201.

 

이 약제에 대해 환자마다 다른 반응을 보이는 것은 아직 확인되지 않은 환자마다의 특성이나 pharmacokinetics, genetic polymorphism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Holliday SF, Kane-Gill SL, Empey PE, et al. Interpatient variability in dexmedetomidine response: a survey of the literature. ScientificWorldJournal 2014; 2014:805013.

 

고령 환자, 신부전 환자, 간부전 환자에 대한 특별한 용량 조절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아직 없으며, 저용량으로 시작한 후 환자의 반응을 보면서 천천히 조절을 해야 한다.

 

 

Adverse effects

Sedation 목적으로 dexmedetomidine을 사용하는 경우 발생 가능한 부작용으로는 hypotension(저혈압), hypertension(고혈압), nausea(오심), bradycardia(서맥), atrial fibrillation(심방세동)을 들 수 있다. Bradycardia와 hypotension은 loading dose나 maintenance 중에 발생 가능한데, hypertension 또한 특히 loading 시 보일 수 있으며, hypotension은 대부분 빠르게 증량(dose escalation)하는 경우 나타날 수 있다. 이런 경우 약물을 급하게 중단해도 빠르게 회복되지 않을 수 있다.

 

Refractory cardiogenic shock이 발생했다는 보고도 있다. 이 약제를 갑작스럽게 중단하는 것은 피해야 하는데, 장기간 사용한 경우 금단 현상(withdrawal)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dexmedetomidine을 중단하는 경우, withdrawal에 대해 mornitoring이 필요하다. Hypotension(저혈압)이나 bradycardia(서맥)이 발생 가능한 것은 dexmedetomidine의 sympatholytic effects 때문인데, 특히 병용하는 약제(eg, propofol, inhalation agents)로 인해 유발될 수 있다.

 

Propofol과 유사하게, dexmedetomidine도 dose-dependent respiratory depression이 발생 가능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Neuromuscular blockade(신경근 차단)이 필요한 경우 dexmedetomidine으로는 deep sedation이 가능하지 않다.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0060700005

 

Drug interactions

Dexmedetomidine의 대사는 간에서 glucuronidation과 cytrochrome P450으로 이루어지지만, 임상적으로 중요한 cytochrome P450-mediated drug interaction은 아직 확인된 바 없다. Systemic blood pressure를 낮추는 약제(eg, propofol)들이 dexmedetomidine의 hypotensive effect를 강화시킬 수 있는 반면, systemic blood pressure를 높이는 약제는 dexmedetomidine의 hypertensive effect를 강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Reference
Uptodate.Mar 18, 2021.
Sedative-analgesic medications in critically ill adults: Properties, dosage regimens, and adverse effects

 

2023.11.08 - [의학] - Mechanical ventilation(기계 호흡) 중인 환자에서 ketamine(케타민)의 효과

 

Mechanical ventilation(기계 호흡) 중인 환자에서 ketamine(케타민)의 효과

Ketamine Sedation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Purpose Ketamine(케타민)은 mechanical ventilation 중인 환자에서 sedation 목적으로 점차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mechanical ventil

blueorbit.tistory.com

 

2024.01.23 - [의학] - Propofol과 fentanyl의 병합 요법이 중환자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Propofol과 fentanyl의 병합 요법이 중환자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dazolam or propofol plus fentanyl on ICU mortality: a retrospective study based on the MIMIC-IV database Background 중환실의 환자는 스트레스를 받는 환경에 놓여 있고 침습적 시술 시 협조적이기 힘든 상황이

blueorbit.tistory.com

 

2022.07.01 - [의학] - 섬망의 예방과 치료

 

섬망의 예방과 치료

Delirium(섬망)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evidence-based strategies와 protocol의 개발을 위해 현재 비약리학적 및 약리학적 접근에 대한 여러 건의 RCT가 진행되고 있다. 안정적이었던 환자에서 agitat

blueorbi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