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oat5 4M_Rule#1 멋진 기업을 매력적인 가격에 사는 작업에 어떻게 착수할지 고심된다면, 4M(meaning, moat, management, margin of safety)을 확인하면 된다. 4M은 완벽한 투자를 향한 여정에 놓인 이정표와 같다. 이는 출발부터(기업에 대한 투자를 고려한 순간) 도착까지(이 회사에 힘들게 번 돈을 투자하기로 마음먹은 순간) 당신이 밟아야 할 단계를 차근차근 일러준다. 4M을 쉽게 이해하는 요령은 간단하다. 기업을 평가할 때 다음 질문에 답을 구한 다음 훌륭한 투자가 될 수 있을지 없을지 결정하기만 하면 된다. 1. 기업이 당신에게 '의미'가 있는가?2. 기업의 '해자'가 넓은가?3. 기업의 '경영진'이 훌륭한가?4. 기업이 '안전 마진'을 크게 제시하는가? 질문 네 개 모두 무조건 "예스".. 2024. 5. 14. Rule#1 투자의 핵심 어떤 것은 변하지 않는다. Rule#1도 그중 하나다. Rule#1은 지난 백 년 동안 훌륭한 투자의 기본이었으며 앞으로 백 년 뒤에도 훌륭한 투자의 기본일 것이다. Rule#1 투자자는 가치를 결정할 수 있는 기업이라는 관점에서 주식을 바라본다. 그런 다음 시장의 변동을 인내심 있게 바라보면서 마음에 드는 기업이 알맞은 가격으로 떨어지기를 기다린다. Rule#1의 핵심첫째, Rule#1은 말 그대로 "돈을 잃지 마라"이다. 하지만 현실적인 차원에서 이것은 확실성을 가지고 투자하는 것을 의미한다. 확실성은 '멋진 기업을 매력적인 가격으로 살 때' 발생한다. 멋진 기업을 매력적인 가격에 살 때 돈을 벌 수 있다. '멋지다'는 말속에서 앞으로 자세히 살펴볼 세 가지 요소가 숨어 있다. 첫째, '멋진'.. 2024. 5. 12. 해자가 넓은 기업을 구입하는 시기_Rule#1 주가를 고려할 때 많은 투자자들이 저지르는 실수가 있다. 그들은 경쟁사와 경쟁을 잘하느냐 못하느냐가 주가 상승이나 하락에 영향을 미친다고 잘못 생각한다. 하지만 내가 볼 때 해자의 폭이 주가 상승에 영향을 끼친다. 가령 지난 7년 동안 펩시의 주가는 코카콜라 주가보다 월등히 높았다. 하지만 주식이 아니라 기업을 사야 한다는 사실을 유념하자. 기업 구매자로서 우리는 여러 요인이 주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이해해야 한다. 이런 요인은 기업의 품질이나 해자의 너비와는 아무 상관이 없는 경우가 많다. 한 가지 좋은 예가 있다. 1998년 펩시의 주당 가치는 44달러였고, 코카콜라의 주당 가치는 42달러였다. 주식시장에서 펩시는 실제 가치보다 30퍼센트 낮은 30달러에 거래되고 있었다. 다른 한편 코카콜라의 .. 2024. 5. 4. 해자 추세 분석을 위한 체크리스트 1단계: 해당 기업의 해자 원천(들) 파악 이를 위해 다음의 질문을 하고 변화가 발생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2단계: 일반적이고 양적인 추세와 관련된 질문 1. 해당 기업이 해당 산업에서 차지하는 시장점유율이 상승 중인가, 하락 중인가? 2. 경기주기 평균 영업이익률이 현재 수준보다 높은가, 낮은가? 3. 한계 투하자본수익률(incremental ROIC)이 현재 수준보다 현저히 높은가, 낮은가? 4. 전체 산업의 이익에서 해당 업종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가, 감소하고 있는가? 5. 해당 기업 제품의 가격 추세는 어떠한가? 6. 해당 기업이 직면한 큰 기회와 위협은 무엇인가? 해당 기업이 보유한 기존의 우위를 새로운 제품 범주나 시장으로까지 확대할 기회가 있는가? 반대로 해당 기업 시.. 2024. 4. 10.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