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mimic5

Septic shock(패혈성 쇼크) 환자에서 normalized lactate load와 사망률 간의 관계 Association between normalized lactate load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septic shock: an analysis of the MIMIC-III database Background "Normalized lactate load"라고 불리는 변화의 정도와 시간 간격을 모두 포함하는 dynamic lactate change(동적 젖산 변화)의 index는 septic shock(패혈성 쇼크)의 hypoxic burden(저산소 정도)을 반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 septic shock 환자에서 normalized lactate load와 29일 사망률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Methods Medical information Mart.. 2024. 3. 27.
심장 수술을 받은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체중의 영향 Overweight is associated with better one-year survival in elderly patients after cardiac surgery: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MIMIC-III database Background Body mass index (BMI)가 심장 수술 후 환자의 예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으며, 이에 대한 dose-response에 대해서도 명확하지 않다. 또한 BMI와 예후의 관계에 나이, 동반질환, 심장 수술 종류가 어떤 관련이 있는지도 아직은 확실하지 않은 상황이다. Methods 본 연구에서는 심장 수술을 받은 6,437명의 환자에 대해 Multiparameter Intelligent .. 2024. 3. 10.
MIMIC-III (Medical Information Mart for Intensive Care) Data Descriptor: MIMIC-III, a freelyaccessible critical care database MIMIC-III(Medical Information Mart for Intensive Care)는 대형 3차 치료 병원의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와 관련된 정보로 구성된 대규모 single-center database이다. 이 data에는 vital signs, medications, laboratory measurements, observations, 의료인이 작성한 notes, fluid balance procedure codes, diagnostic codes, imaging reports, hospital length of stay, survival data 등이 포함되어 .. 2024. 2. 15.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주입한 진정제 종류에 따른 예후 비교 Comparing the impact on the prognosis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critical patients of using midazolam, propofol, and dexmedetomidine for sedation. Background Acute myocaridal infarction(AMI, 급성 심근경색)으로 중환자실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서의 sedative therapy(진정제 치료)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지 않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이 환자군에서 진정제로 midazolam, propofol, dexmedetomidine를 투여했을 때 예후를 비교하였습니다. Methods Medical Information Mart for Intensive .. 2024. 1.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