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nteral feeding12

Enteral nutrition(경장 영양)의 부작용 1. Aspiration Enteral nutrition (EN, 경장 영양)을 시행 중인 환자에서 aspiration의 발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EN을 시행받는 환자에서 pneumonia가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고 aspiration 발생률 또한 더 높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그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이는 아마도 환자의 underlying condition에 기인할 가능성이 높다. 중환자에서 aspiration이 더 많이 발생하는 것은, 환자의 airway를 보호하는 기능이 떨어져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aspiration이 명확히 임상적인 결과 (eg, 다량의 내용물이 aspiration 됨으로써 hypoxia나 pneumonitis가 발생)가 나타나지 않는 이상, 대부.. 2024. 3. 21.
경장 영양(enteral nutrition) 중인 중환자에서 금식 시간을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 Optimising enteral nutri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by reducing fasting times Background Enteral nutrition(EN, 경장 영양)은 중환자에서 장 기능을 보존하면서 영양을 지원하는 유효한 방법이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주입이 중간에 자주 중단된다. 이러한 중단의 원인으로 diagnostic procedures(진단적인 검사와 시술들), surgery(수술), airway management(기도 관련 시술과 처치들)을 들 수 있다. Enteral nutrition의 잦은 중단은 상당한 calorie deficit을 초래하고 이는 여러 합병증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에서의 enteral nutriti.. 2024. 3. 19.
중증 급성 췌장염 환자에서 조기 경장영양의 효과 Effects of Early Enteral Nutrition on Immune Function of Severe Acute Pancreatitis Patients AIM Severe acute pancreatitis(중증 급성 췌장염) 환자군에서 early enteral feeding(조기 경장 영양)이 면역 기능과 임상 경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METHODS Severe acute pancreatitis로 입원한 환자 중에서 enteral feeding을 입원 48시간 이내에 시작한 early enteral nutrition group과 입원 8일째 시작한 delayed enteral nutrition group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입원 1일, 3일, 7일, 14일에 immunol.. 2024. 3. 13.
경장 영양(enteral nutrition) 중인 중환자의 금식 가이드라인 예 본 가이드라인은 수술 혹은 시술 전 enteral nutrition(EN, 경장영양)을 중단 및 재시작하는 기준에 대해 설명하며, protective airway(defined as a cuffed endotracheal or tracheostomy tube)를 유지 중인 enteral nutrition을 공급받고 있는 성인 중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Stopping Enteral Nutrition 1. Before non-airway surgery or procedures(Orthopaedic surgery, Plastic surgery, Neurosurgery) 금식은 필요하지 않다. 환자가 수술실로 이동하기 위해 중환자실을 떠나기 전까지 EN을 계속할 수 있다; 수술실로 떠나기 전에 nasogastr.. 2024. 3.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