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Trauma8

두 곳 이상의 손상을 입은 외상 환자는 왜 사망률이 증가할까 Assessment of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Injury Regions in Multiple Injuries: A Nationwide Cohort Study in Japan Background 그동안 다발 외상 환자에서 손상된 부위 간의 조합으로 어떤 영향이 나타나는지에 대한 임상적 연구가 없었습니다. 본 연구는 손상 부위의 특정한 조합이 사망에 미치는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Material and methods 2004년에서 2017년 사이에 Japan Trauma Data Bank에 등록된 외상 환자에 대해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손상은 네 부위(head, chest, abdomen, extremities)에 따라 분류하였습니다. 공.. 2024. 2. 2.
외상 환자에서 chest tube를 제거하고 chest X ray를 꼭 찍어야 할까 Is a Chest Radiograph Indicated after Chest Tube Removal in Trauma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Purpose 본 연구는 기계 호흡을 받고 있거나(ventilated) 받고 있지 않은(nonventilated) 외상 환자에서 흉관(chest tube) 제거 후에 무조건 chest X ray(흉부 엑스레이)를 촬영하는 것에 대해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체계적 분석(systematic review)을 시행하였습니다. Methods 2020년 5월 15일 MEDLINE, Embase, CENTRAL, CINAHL을 이용해서 체계적 문헌 고찰을 시행하였습니다. Quality assessment는 Nonrandomized Studies cr.. 2024. 1. 31.
Lactate은 외상 환자의 병원전 단계에서 plasma 수혈의 효과를 보여준다 Lactate as a Mediator of Prehospital Plasma Mortality Reduction in Hemorrhagic Shock Background 여러 연구에서 병원전 단계에서 중증 외상 환자에게 plasma(혈장) 수혈(transfusion)을 시행하면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아직 그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 없지만, 아마도 쇼크 중등도의 감소가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Lactate(젖산)는 생리적인 쇼크의 중등도 및 외상 후 사망률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지표이다. 본 연구는 외상 후 hemorrhagic shock(혈액성 쇼크)를 보이는 환자에게 병원전 단계에서 plasma를 수혈 시 lactate가 감소하는지를 확인하고 이 결과가 plama의 사망률.. 2022. 6. 19.
복부 둔상 환자에서 항응고 치료는 언제 시작해야 할까? Hypercagulability Following Blunt Solid Abdominal Organ Injury: When to Initiate Anticoagulation Background 둔상(blunt trauma)으로 인해 복강 내 장기 손상을 입은 환자에서 venous thromboembolism(정맥 혈전색전증) 예방을 위한 항응고 치료의 적절한 시작 시점은 알려지지 않았다. Methods Thromboelastography(TEG, 혈전 탄성 묘사도)를 이용해서 복부 둔상을 입은 환자의 손상 후 응고 상태(postinjury coagulation status)를 알 수 있다. TEG를 수상 후 72시간까지 12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Results 총 304명 중 42명(13.8%)의 환.. 2021. 11.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