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현금4 재무상태표 빠르게 확인하기_주식투자자 관점에서 재무제표 행간을 읽어라 1. 현금및현금성자산유동자산인 현금및현금성자산은 기업의 매출 규모에 비해 너무 많거나 적지 않게 보유하고 있어야 좋은 기업이다. 정상적으로 영업활동을 하는 대부분의 상장기업들은 회계연도 말 기준 대략 매출액 대지 7~5% 수준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 2. 매출채권기업의 매출이 증가하면 매출채권이 함께 증가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전분기 대비 혹은 전년 동기 대비 과도하게 매출채권이 증가한다면, 그 이유를 확인해야 한다. 3. 재고자산재고자산 역시 기업의 매출이 증가하면 함께 증가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재고자산은 너무 많아도 문제지만, 너무 적은 경우에도 갑작스러운 수요 증가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의 매출 규모와 비교해서 적정한 수준으로 재고자산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2024. 11. 29. 손익계산서의 이익과 실제 현금이 다른 이유 '현금은 fact(사실)이고, 이익은 opinion(의견)이다'손익계산서의 당기순이익이 이익잉여금으로 쌓인다고 해도 실제 기업이 갖고 있는 현금과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현금은 오직 현금 입출금 이후에 생긴 결과물이니까요. 오늘은 이러한 차이의 원인으로 어떤 것이 있는지 '나의 첫 회계 수업(고윤아 저)'에서 알아봤습니다. 1. 매출과 매입 ≠ 현금유입과 유출회사는 편의점이 아니며, 물건을 사고파는 동시에 돈을 주고받지 않습니다.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서에 명시된 지급일에 따라 지급하므로, 당월 이익과 현금 잔고와 연관성이 없습니다. 2. 판매비와 관리비 ≒ 현금유입과 유출항목에 따라서 현금흐름과 같기도 하고, 다르기도 합니다. a. 퇴직급여 ≠ 현금유출1년 이상 회사를 다니면 회사는 직원에게 퇴직금을 지급.. 2024. 11. 12. 주식과 채권의 차이: 배당 수익률 vs. 금리 최근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10 Year Yield)가 4.8%를 기록했는데, 이 수치는 2007년 여름 이후 최고치입니다. 이는 S&P500에서 53개 종목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종목의 배당 수익률(Dividend Yield) 보다 높은 이자 수익률입니다. 다우 지수 30개 종목 중 이 금리보다 배당 수익률이 높은 기업은 단 4개(Wallgreens, 3M, Verizon, Dow chemical)뿐입니다. S&P500의 배당 수익률은 밸류에이션 상승과 기업의 자사주 매입 증가가 더해지면서 오랜 기간 하락하고 있었지만, 평균보다 낮은 배당 수익률도 최근 몇 년 동안은 국채 금리와 비교해도 경쟁성이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더 이상은 아닙니다. 다음은 1926년 이후 S&P500의 배당 수익률(파란색 선.. 2024. 2. 16. 환매조건부채권(RP, RePurchase agreement)이란 주식 투자를 할 때 가장 중요하고 신경 써야 하는 점이 현금의 비율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입니다. 현금은 저금리 환경에서는 쓰레기 취급('Cash is trash')을 받는 반면, 지금과 같이 고금리 환경에서는 왕대접('Cash is king')을 받기도 하지요. 금리가 높으므로 예적금이나 채권 이자율이 올라가서 좋을뿐더러, 할인에 들어간 좋은 주식을 저가 매수할 수 있는 기회를 주므로 현금의 가치는 가만히 있어도 올라갑니다. 게다가 넉넉한 현금 비중과 흐름은 투자자의 마음을 든든하게 해 주기 때문에 패닉셀을 하지 않고 버티는 방패 역할까지 합니다. 현금이 중요하다는 것은 이제 누구나 알지만, 그럼에도 현금관리가 어려운 점은 막상 필요할 때 현금이 모자라는 상황일 때 제대로 실감할 수 있습니다. 소비를 .. 2023. 12.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