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산배분6

자산배분을 어떻게 해야 할까? - 마법의 돈 굴리기 자산배분 절차(Asset Allocation Process)는 총 5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 목표수익률 설정: 투자를 통해 얻고자 하는 목표수익률을 설정 2. 자산군 및 투자 상품 설정: 주식, 채권, 대체투자 등 투자 대상 자산군과 자산군 내 투자 상품 결정 3. 장기 목표 비중 결정: 자산별로 얼마씩 투자 금액을 배분할지 비중을 결정 4. 자산 재분배 기준 정의: 자산별 가격 등락에 따른 비중 변경 시 자산 재분배를 수행하는 기준 설정 5. 자산배분 투자 실행: 설정된 기준에 맞게 자산을 매입하고 지속적으로 관리 1. 목표수익률 설정 목표수익률이 너무 높으면? 기대수익률이 높은 자산에 많이 투자해야 한다 -> 이런 자산은 변동성이 커서 투자자가 감수해야 할 위험도 크다 목표수익률이 낮으면? 투자를 .. 2022. 7. 19.
인플레이션이 잠들어 있던 이유는? 지난주 FOMC 회의록이 공개됐다. 이후 미국 증시가 반등한 듯 했지만 아직 인플레이션의 우려는 강하다. 그리고 어제는 CPI(소비자물가지수) 9.1%. 신문 기사에서도 언급했듯이 코로나 19 팬더믹으로 인한 수급 불균형과 높은 에너지 가격,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코로나 19 관련 중국 봉쇄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혼선이 인플레이션의 원인으로 꼽을 수 있겠다. 그리고 이 중 공급망 관련 문제는 실질적으로 해결된 점이 없어서 앞으로도 인플레이션 흐름은 쉽게 잡히지 힘들 것 같고 따라서 긴축 기조는 더욱 강해질 수 있다는 회의록의 내용이다. CPI에 따라 이제 1.0bp 인상(울트라스텝) 이야기도 강하게 나오고 있다.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위의 기사에서 언급한 사항이 전부는 아닐 것이고, 지금 왜 이렇게 문.. 2022. 7.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