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업이익5 손익계산서 빠르게 확인하기_주식투자자 관점에서 재무제표 행간을 읽어라 1. 매출액의 규모기업의 실적이 발표되면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순서로 살펴봐야 한다. 재무제표에서 매출액을 가장 우선적으로 살펴보는 이유는 해당 기업에 투자해도 무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가장 기본적인 기준이기 때문이다. 우선 기업의 매출이 증가해야 이익을 개선시킬 여지가 있다. 매출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비용을 줄이며 이익을 증가시키는 데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일단 매출이 꾸준히 증가해야 기업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기는 것이다. 매출액의 규모를 전분기 혹은 전년 동기 대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지 체크한다. 만일 매출이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상황에서 매출원가와 판매비, 관리비 감소로 영업이익이 증가하여 주가가 상승하는지 확인한다. 매출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기업은 조만간 영업이익도 감.. 2024. 11. 28. 수익, 매출액, 영업외이익, Revenue 수익이란 일정기간 동안 기업이 경영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경영성과로, 물건을 팔거나 서비스를 제공하여 기업이 벌어들인 돈을 의미한다. 사전적으로 수익은 자산의 증가, 또는 부채의 감소에 따라 자본의 증가를 초래하는 경제적 효익의 총유입이라 정의한다. 먼저, 수익은 자산의 증가와 함께 올 수 있다. 현금매출이나 외상매출의 경우 매출(수익)이 발생하며 동시에 현금(자산)의 증가 또는 매출채권(자산의) 증가가 기록되기 때문이다. 수익은 부채의 감소와 함께 올 수도 있다. 가령 건물주가 선불로 임대료를 먼저 받고 임대해 준 경우, 현금(자산)의 증가와 선수수익(부채)의 증가가 기록되고, 건물을 사용한 이후 결산일에는 선수수익(부채)의 감소와 임대료(수익)의 증가를 기록한다. 이렇게 기록된 수익은 이익을 높여 이익.. 2024. 11. 14.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순이익 이익은 마진을 뜻하는 것으로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순이익으로 구분하여 기록한다. 이렇게 이익을 구분하는 이유는 저마다 알고 싶은 이익이 다르기 때문이다. 가령 상품이나 제품의 구매와 생산을 담당하는 부서라면 얼마에 생산해서 판매하는가에 대해 궁금할 것이므로 매출총이익(매출액-매출원가)이 중요한 정도이다. 제품의 판매부서는 어느 정도의 판매비를 지출하여 이익을 올렸는지가 궁금하겠고 이는 영업이익에 나타난다. 경영자라면 생산이나 판매뿐만 아니라 자금관리, 부업까지 모두 포함하여 경영으로 발생한 최종적인 이익이 얼마나 발생했는지가 관심사이므로 당기순이익이 중요한 지표다. 1. 매출총이익을 늘리자매출총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한 금액으로 이를 늘리는 데에는 매출액을 늘리거나 매출원가를 줄이는 방법 두 .. 2024. 11. 9. 손익계산서의 구성_모닝스타 성공투자 5원칙 수익 수익은 매출액이라는 이름으로도 사용되며, 기업이 한 분기 또는 한 해 동안 얼마나 많은 돈을 벌었는지를 보여주는 수치이다. 대기업의 경우 손익계산서상에 수익을 게재할 때 사업 부문이나 지리적 영영, 제품, 서비스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올바른 판단을 내리려면 재무제표 안에 숨어 있는 '수익 인식의 원칙(revenue recognition policies)'를 확인해야 한다. 기업이 어떤 사업을 하느냐에 따라서 수익을 기록하는 시기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매출원가 노무비나 원재료비(제조기업), 도매원가(소매기업) 등 기업의 수익 창출 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비용을 말한다. 제조와 서비스 제공을 겸하는 대기업은 이 비용을 매출원가와 서비스원가로 나눠서 기록하기도 한다. 매출총이익 모든 손익계산서.. 2024. 3. 26.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