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영양 지원3

Supplemental parenteral nutrition은 언제 해야 할까? When should we apply/implement supplemental PN? Recommendation 20 In patients who do not tolerate full dose EN during the first week in the ICU, the safety and benefits of initiating PN should be weighed on a case-by-case basis. Grade of recommendation: GPP - strong consensus (96% agreement) Recommendation 21 PN should not be started until all strategies to maximize EN tolerance have been attemp.. 2024. 4. 2.
중환자에게 제한된 칼로리로 영양 공급(permissive underfeeding)을 한 효과 Permissive Underfeeding or Standard Enteral Feeding in Critically Ill Adults Background 성인 중환자에게 제공해야 할 적절한 caloric goal란 명확히 밝혀진 바 없다. 이 연구에서는 nonprotein calories 제한(permissive underfeeding)의 90-day mortality에 대한 효과를 standard enteral feeding과 비교하였다. 양 군 간에 protein 투여량은 full recommended amount를 유지하였다. Methods 7개 기관의 내과계 중환자실, 외과계 중환자실, 외상 중환자실 입원한 894명의 성인 중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ICU 재원 기간 14일까지, Permiss.. 2024. 2. 28.
Monitoring nutritional support 영양 상태(nutritional status)의 초기 평가가 중요하지만, 영양 지원(nutritional support) 후 이에 대한 효과를 monitoring 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적절한 영양(adequate nutrition)이란 입원으로 이어지게 된 대사 과정의 에너지 요구량(energy demands)을 충족하고, core body temperature를 유지하며, 치유를 지원하여 회복시간과 합병증을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환자의 영양 요구량이 충족되고 있는지 monitoring 할 수 있다. Clinical status 영양 지원이 적절한지 여부는 환자의 임상 경과와 wound healing(상처 치유)를 평가함으로써 가장 잘 monitoring 할 수 있으며, 한 .. 2022. 6.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