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섬망6 섬망 발생을 줄이기 위해 멜라토닌을 예방적으로 투여한 효과는? Prophylactic melatonin for delirium in intensive care (Pro-MEDIC):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urpose 중환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delirium(섬망)은 환자와 가족에게 강한 스트레스를 줄 뿐만 아니라, 높은 morbidity 및 mortality와 관련 있다. Melatonin을 다양한 환자군에 delirium 예방 목적으로 투여한 여러 임상 연구들의 결과는 일정하지 않다. 본 연구는 중환자에게 melatonin을 예방적으로 투여했을 때 delirium이 감소하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하였다. Methods 호주에 있는 12 곳의 중환자실을 대상으로 2016년 7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진행한 multicentr.. 2024. 3. 1. Delirium(섬망)의 약물적 예방 및 치료 현재 섬망의 치료에 임상적으로 사용하는 약물로는 전형적인 항정신병제(haloperidol), 비정형 항정신병제 (risperidone, olanzapine, quetiapine) 그리고 dexmedetomidine 등이 있다(표 9). 섬망의 약물치료 섬망을 치료하기 위해 haloperidol, 비정형 항정신병제 또는 statin을 정기적으로 혹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총 6개의 대규모 임상시험에서 상기 약제들은 섬망의 기간 감소, 중환자실 재원기간, 사망률에 유의미한 연관이 없었다. 하지만 불안, 공포, 환각, 망상 등 섬망 증상에 2차적으로 상당한 고통을 느끼거나 불안하여 자신이나 타인에게 신체적으로 해로울 수 있는 환자들은 단기적으로 haloperidol이나 비정형 항정신병제 .. 2024. 2. 18. 섬망의 정의와 위험 인자 Delirium(섬망)의 정의 1. 집중, 유지, 또는 주의를 전환하는 능력이 감소된 의식 장애(disturbance of consciousness). 즉,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의 명확성이 감소. 2. 인지(cognition) 능력의 변화(eg, memory deficit, disorientation, language disturbance) 혹은 perceptual disturbance (인지 장애). 이는 기존에 있었거나 진단받았거나 진행 중인 dementia(치매)로 설명되지 않는다. 3. 이러한 장애는 단기간(보통 몇 시간에서 며칠) 동안 나타나며 하루 중에도 변동하는 경향이 있다. 4. 병력, 신체검사 또는 lab. 소견에서 이 장애가 일반적인 의학 상태나, 약물 사용 또는 한 가지 이상의 원인.. 2024. 1. 21. 섬망이 발생한 중환자에서 haloperidol과 ziprasidone의 효과 비교 Haloperidol and Ziprasidone for Treatment of Delirium in Critical Illness BACKGROUND 중환자에서 발생하는 섬망의 치료제에 대한 여러 연구들에서 상충되는 결과가 있다. METHODS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로서, acute respiratory failure 혹은 shock을 진단받은 환자에서 hypoactive 혹은 hyperactive delirium이 발생한 경우, IV bolus로 haloperidol(maximum dose, 20 mg daily), ziprasidone(maximum dose, 40 mg daily), 혹은 placebo를 투여한 group으로 나누.. 2023. 11. 19.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