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당금4 이익잉여금의 재투자와 가치평가 개별 기업에 투자할 때 배당금을 지급하는지 여부가 투자 고려 요소 중 하나일 수 있다. 배당금을 꾸준히 지급하는 기업은 사업이 탄탄하게 굴러간다는 자신감의 표현일 수 있고, 투자자 입장에서는 어려운 시기를 버티는 힘이 될 수 있다. 배당 여부는 기업이 속해 있는 업종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며, 현재 기업이 위치해 있는 라이프사이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익을 배당금으로 주주에게 나눠줄지, 아니면 사업에 재투자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높일지를 결정하는 경영진의 판단 능력은 주식 투자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다. 따라서 배당금은 가치평가의 주요 요인이기도 하다. '시골의사의 주식투자란 무엇인가 2. 분석 편'에서는 가치와 잉여 현금흐름, 그리고 배당금에 대해 이야기한다. 저자인 시골의사는 주.. 2024. 12. 10. 경영진이 여윳돈을 어떻게 쓰는지 평가하라_이익잉여금 수익률 한 회사가 이익을 내면, 이제 그 이익금으로 무엇을 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익의 일부는 그 이익을 창출해 낸 핵심 사업의 자본재를 보충하는 데 사용될 것이다. 워런 버핏은 이렇게 사용되는 이익금을 '제한된 이익금'으로 간주한다. 회사 A가 1992년 100만 달러의 이익을 올렸는데, 다음 해 공장 발전기를 교체해야 하고 그 비용이 40만 달러라고 하자. 이는 A사가 1993년 발전기 교체 비용으로 40만 달러를 준비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사업을 접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A 사가 40만 달러를 저축해 두지 못했다면, 그 돈을 조달할 다른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그러나 A사는 1992년 100만 달러를 벌었고, 따라서 회사 경영진은 100만 달러의 이익 중 40만 달러를 새 발.. 2024. 3. 31. 주식과 채권의 차이: 배당 수익률 vs. 금리 최근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10 Year Yield)가 4.8%를 기록했는데, 이 수치는 2007년 여름 이후 최고치입니다. 이는 S&P500에서 53개 종목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종목의 배당 수익률(Dividend Yield) 보다 높은 이자 수익률입니다. 다우 지수 30개 종목 중 이 금리보다 배당 수익률이 높은 기업은 단 4개(Wallgreens, 3M, Verizon, Dow chemical)뿐입니다. S&P500의 배당 수익률은 밸류에이션 상승과 기업의 자사주 매입 증가가 더해지면서 오랜 기간 하락하고 있었지만, 평균보다 낮은 배당 수익률도 최근 몇 년 동안은 국채 금리와 비교해도 경쟁성이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더 이상은 아닙니다. 다음은 1926년 이후 S&P500의 배당 수익률(파란색 선.. 2024. 2. 16. 가치 배당 전략에서 종목을 고르는 기준 투자금의 분배는 장기적인 생존과 완만한 수익률의 상승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투자 예비금을 어디에 어떻게 투자 혹은 보관할지는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사인데, 지금 같은 금리에서는 예금도 좋겠지만 그 이상의 알파를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투자처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입니다. 가치배당주도 그중 하나인데, 이 종목을 어떻게 골라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됩니다. 단순히 고배당주에 넣어 놓아도 수익률까지 덤으로 가져가던 시절이 있었으나 이번 하락장에서 쓴 맛(주가 하락, 배당 삭감)을 본 투자자들이 많을 것입니다(저 역시 그렇습니다). 배당주나 소위 가치배당주라고 해서 모두 안전하지는 않겠지만, 나름의 기준이 있다면 어려운 상황에서 버팀목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절대로! 배당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2023. 9. 2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