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무형자산3

무형자산_개발비 회사에서 신제품을 출시하기 위해 연구개발 활동에 들어간 비용은 두 가지 방법으로 회계처리한다. 연구 단계에 투입된 비용은 연구개발비(연구비 또는 경상개발비)라는 이름의 계정으로 당기에 비용(주로 판관비)으로 처리한다. 하지만 개발 단계에 투입된 비용은 바로 비용으로 처리하지 않고 일단 개발비라는 계정 이름을 붙여 무형자산으로 분류한 다음 상각한다. 즉, 개발비는 비용이 아니라 자산이다. 그러나 영구히 자산의 신분은 아니며 천천히 여러 해에 걸쳐 나누어 비용으로 신분이 바뀐다. 개발비가 연구개발에 사용한 지출인 것은 확실하지만, 비용이 아니라 자산으로 재무제표에 잡아놓았다가 점차 비용화한다.   연구비: 연구활동과 관련된 비용.판매비와관리비로 비용화.경상개발비:자산인식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개발비.제저원가나.. 2024. 12. 2.
재무상태표 빠르게 확인하기_주식투자자 관점에서 재무제표 행간을 읽어라 1.  현금및현금성자산유동자산인 현금및현금성자산은 기업의 매출 규모에 비해 너무 많거나 적지 않게 보유하고 있어야 좋은 기업이다. 정상적으로 영업활동을 하는 대부분의 상장기업들은 회계연도 말 기준 대략 매출액 대지 7~5% 수준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 2. 매출채권기업의 매출이 증가하면 매출채권이 함께 증가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전분기 대비 혹은 전년 동기 대비 과도하게 매출채권이 증가한다면, 그 이유를 확인해야 한다. 3. 재고자산재고자산 역시 기업의 매출이 증가하면 함께 증가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재고자산은 너무 많아도 문제지만, 너무 적은 경우에도 갑작스러운 수요 증가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의 매출 규모와 비교해서 적정한 수준으로 재고자산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2024. 11. 29.
해자 추세 분석을 위한 체크리스트 1단계: 해당 기업의 해자 원천(들) 파악 이를 위해 다음의 질문을 하고 변화가 발생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2단계: 일반적이고 양적인 추세와 관련된 질문 1. 해당 기업이 해당 산업에서 차지하는 시장점유율이 상승 중인가, 하락 중인가? 2. 경기주기 평균 영업이익률이 현재 수준보다 높은가, 낮은가? 3. 한계 투하자본수익률(incremental ROIC)이 현재 수준보다 현저히 높은가, 낮은가? 4. 전체 산업의 이익에서 해당 업종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가, 감소하고 있는가? 5. 해당 기업 제품의 가격 추세는 어떠한가? 6. 해당 기업이 직면한 큰 기회와 위협은 무엇인가? 해당 기업이 보유한 기존의 우위를 새로운 제품 범주나 시장으로까지 확대할 기회가 있는가? 반대로 해당 기업 시.. 2024. 4.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