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중환자 재활3

ICU-acquired weakness의 발병 기전 ICU-acquired weakness(중환자실 획득 쇠약)의 pathophysiologic mechanism은 다인성(multifactorial)에 기인한다. Critical ilness polyneuropathy는 dysfunctional microcirculation에 의해서 neuronal injury와 axonal degeneration이 발생한다고 추측되는데, 이 환자군에서 endotheial-cell activation을 나타내는 peripheral-nerve vascular endothelium의 E-selectin expression을 보인다는 연구가 그 근거이다. 위 소견은 sepsis model에서 설명하는 microvascular leak과 microvascular environme.. 2024. 2. 26.
중환자 재활치료의 시행과 모니터링 Early mobilization 및 ambulation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서는 조화된 접근 방식, 다학제 진료, 협업 환경 및 병원 경영진의 지원이 포함된 iterative process가 필요하다. Plan-Do-Study-Act (PDSA) model나 the six sigma model 혹은 Pronovost 등에 의해 제시된 large-scale knowledge translation을 위한 4-step model 등이 이러한 intervention의 성공 가능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여줄 것이다. 2022.07.04 - [의학] - Early mobilization and ambulation in the ICU Early mobilization and ambulation in the ICU S.. 2022. 7. 5.
Early mobilization and ambulation in the ICU Safety and feasibility 여러 연구에서 내과계 중환자실에 시행하는 물리치료(physical therapy)의 안정성과 타당성에 대해 보고하였다. Morris 등은 대학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3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에서, 중환자 재활팀이 mechanical ventilation(기계 환기) 시작 후 48시간 이내에 부작용이나 의료 비용 증가 없이 early mobilization protocol에 따라 재활을 시작할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Morris PE et al. Early intensive care unit mobility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cute respiratory failure. Crit Care Med .. 2022. 7. 4.
반응형